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일본 신임 총리 기시다 후미오

日 도쿄 또 코로나 대응 긴급사태...스가 "文방일시 정중히 대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도쿄=조은효 특파원】 일본 정부가 도쿄 올림픽 기간(7월 23일~8월 8일)을 포함해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긴급사태를 발령하기로 했다. 올림픽 개최도시 도쿄에 최근 코로나가 급격히 재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올림픽 개최를 고수하고 있어, 방역 실패시 스가 정권을 향한 비판의 화살이 거셀 것으로 보인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는 8일 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한 뒤 오는 12일부터 8월 22일까지 도쿄도(都)에 긴급사태를 발령한다고 발표했다. 일본 수도 도쿄도에 코로나 방역을 위한 긴급사태가 발령되는 것은 지난해 4월 첫 발령 이후 4번째다. 이로써 도쿄는 올림픽 기간 내내 긴급사태 아래 놓이게 됐다. 이 기간 음식점 주류 제공이 전면 금지되고, 영업시간 제한이 이뤄진다.

현재 도쿄의 민심은 들끓고 있다. "긴급사태를 재발령해가면서까지 과연 올림픽을 강행해야 하는 것이냐", "바보같다"는 원색적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올해만 두 번째 발령(1월 8일~3월 21일), 세 번째 발령(4월 25일~5월 31일)이 이뤄졌다. 약 2개월을 제외하고는 줄곧 긴급사태 기간이었던 셈이다. 일본의 한 매체는 도쿄 번화가 표정에 대해 긴급사태 선언 소식이 전해진 직후 '지칠대로 지친 표정'이었다고 전했다. "이렇게까지 하면서 도쿄올림픽을 치러야 하는가. 납득할 수 없다"는 목소리가 팽배하다.

올림픽 경기 대다수는 무관중으로 치러진다. 이날 밤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일본 정부 관계자로 구성된 5자 회담에서 무관중 문제를 협의했다.

이런 가운데 이날 오후 7시부터 총리 관저에서 이뤄진 기자회견에서 스가 총리는 도쿄올림픽 개막식을 계기로 문재인 대통령이 방일할 경우 정상회담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 "한국 측 참석자는 아직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안다"면서도 "만일 문 대통령이 방일할 경우, 외교상 정중하게 대응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밝혔다. 앞서 이날 마이니치신문은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한국 정부가 한·일 정상회담 개최를 전제로 문 대통령의 도쿄올림픽 개막식 참석을 타진했으며, 일본 정부가 올림픽 개최국으로서 '손님 대접'으로 회담에 응할 것이란 의향을 드러내고 있다"고 보도했다. 스가 총리는 다만, "현재 한·일 관계는 징용 문제, 위안부 문제로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며 "현안 해결을 위해 한국이 책임감을 가지고 대응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해, 한국 정부가 이에 대한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