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사교육 날려버린 中, 속내는 알바 대학생 '이념통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베이징(중국)=김지산 기자] [SCMP, 업계 관계자 인용해 보도…'거대 자본' 우려도 이유로 꼽혀]

머니투데이

[베이징=신화/뉴시스] 중국 수도 베이징 하이뎬구에 있는 타이핑 소학교에서 학생들이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마스크를 착용한 채 수업을 받고 있다. 2021.04.02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증시 폭락을 불러온 중국의 사교육 원천 금지 조치가 중국 정부의 이념 통제와 관련이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3일 보도했다.

SCMP는 익명의 사교육업계 관계자 말을 인용해 "담론과 이데올로기는 중앙 정부가 통제해야 하는데 국가 차원에서 매우 우려되는 부분"이라며 "지난 몇 년 사이 방과 후 사교육에서 자체적인 담론이 구축됐고 이는 국가의 의도를 거스르는 것"이라고 밝혔다.

국영 잡지 '차이나 뉴스 위클리'에 따르면 사교육 시장에 수백만명이 일하고 있다. 이 중 상당수가 대학생들로서 학비를 벌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뛰고 있다. 중국 정부가 대학생들에 의해 반사회주의 이념이 확산될 여지가 있다고 판단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중산층 육성에 관한 중국 정부의 딜레마가 외부로 드러난 사건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익명의 베이징 정치학자는 "방과 후 과외는 중산층의 사회적 지위 유지에 도움이 된다"며 "한편으로는 경제 성장을 위해 중산층에 의존해야 하지만 다른 한편으론 지나치게 강력한 중산층은 당국에 도전세력으로 비칠 수 있다"고 말했다.

사교육 업체들의 급격한 사세 확장을 교육에 대한 '거대 자본'의 영향력 확대로 바라봤다는 분석도 있다. 데이터 분석 플랫폼 업체 'ii미디어 리서치'는 중국 온라인 교육 시장이 2020년 4540억위안(약 81조원)에 이른다. 프로스트앤설리반은 2023년까지 이 시장이 99억달러(약 114조원)에 도달할 것으로 봤다. 코로나19로 많은 교육 회사들이 파산했지만 살아남은 일부 대형 온라인 교육 플랫폼은 오히려 사세를 팽창시켰다. 지난해 모두 13개 업체가 상장했는데 1개 업체는 중국 본토에, 나머지는 홍콩과 미국에 분산됐다.

먀오루베이징 싱크탱크 중국세계화센터(CCG) 사무총장은 "무모하고 과도한 자본 개입은 사회적 불의를 불러일으키고 중국 정부의 철학과 일치하지 않다고 보고, 교육과 자본이 일정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는 신호를 보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교육 업체들의 타격은 머지않아 가시화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 상장한 탈에듀케이션 회장 장신방은 9000여명 직원들과 화상회의에서 "일부 직원들에 대한 해고는 피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회의 참석자는 전했다.

정부 의도가 무엇이든 부모들의 불만은 치솟고 있다. 부동산 시장을 잡자고 9월부터 주소지만으로 학교를 선택할 수 없도록 추첨제, 일명 뺑뺑이 제도를 도입한 것도 이들의 화를 돋운다. 베이징의 한 학부모는 "딸이 제대로 학기를 마칠 수 있을지 모르겠다"며 "학교 선택 매커니즘을 바꾸지 않은 채 방과 후 과외를 중단하는 건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베이징(중국)=김지산 기자 san@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