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보도 몇 시간 만에…美국회 폭동 진압 경찰관 ‘극단 선택’ 또 있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보도 몇 시간 만에…美국회 폭동 진압 경찰관 ‘극단 선택’ 또 있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1월 6일 미국 워싱턴 국회의사당으로 난입한 시위대와 충돌한 경찰들 중 세 번째로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경찰관이 확인된지 불과 몇 시간 만에 네 번째 희생자가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CNN 등 현지매체 보도에 따르면, 워싱턴DC 메트로폴리탄경찰청 소속 카일 디프리태그(26) 순경은 현지시간으로 지난달 10일 사망했다.

디프리태그 순경의 부고 소식은 사망 하루 만에 로버트 콘티 워싱턴DC 경찰청장 대행이 국방부에 보내는 편지를 통해 알려졌지만, 보도는 이제서야 나왔다.
서울신문

카일 디프리태그(26) 순경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로써 디프리태그 순경은 지난 1월 6일 몇천 명의 트럼프 지지자로부터 국회의사당을 지키다가 극단적인 선택을 한 네 번째 경찰관으로 기록됐다.
서울신문

당시 그는 후속 교대 근무자로 국회의사당 밖에 배치돼 시위대의 폭동에 대응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워싱턴DC 경찰청에서 5년간 근무한 디프리태그 순경은 원래 시내 제5구역에 배속돼 있었지만, 당시 야간 외출 금지령을 위반하고 국회의사당으로 난입한 시위대를 막기 위해 지원을 나갔던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신문

건서 하시다(43) 순경.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현지매체들은 같은 경찰청 소속 건서 하시다(43) 순경이 현지시간으로 지난달 29일 사망했다고 전했다.

이는 하시다 순경의 가족이 고인의 추도식과 가족 지원 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고펀드미를 통해 사망 소식을 전하면서 알려졌다. 다만 하시다 순경이 어떤 이유로 극단적인 선택을 했는지는 불분명하다. 그의 가족 역시 고인의 죽음을 국회의사당 난입 사태 탓으로 돌리지 않았다. 그는 아내와 세 자녀를 남겨 놓고 떠났다.
서울신문

하워드 리번굿(왼쪽)과 제프리 스미스 경찰관의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의회 경찰 소속 하워드 리번굿(51)이 난입 사태 사흘 만인 지난 1월 9일, 워싱턴DC 경찰 소속 제프리 스미스(31)가 그달 15일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민주당 일인자인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은 2일 오후 성명을 통해 “하원을 대표해 건서 하시다 순경의 가족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깊은 애도를 표한다”고 밝혔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