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주도 플랫폼도 그대로 추진…은행별로 자유롭게 참여하기로
은행들 입장에서는 카카오페이·토스 등 민간 빅테크(대형 정보기술업체)·핀테크(금융기술기업) 등이 주도하는 대환대출 플랫폼에 종속되는 것을 피해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된 셈이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은행연합회를 중심으로 지난 6월 이후 중단된 대환대출 공공 플랫폼 구축 방안 논의를 재개할 예정이다.
시중은행들은 당초 빅테크·핀테크의 대환대출 플랫폼에 은행들이 참여하는 방식을 구상했던 당국의 눈치를 보며 최근 한 달 넘게 독자적 공공 플랫폼 계획을 보류해왔다.
하지만 지난달 15일 금융위원회가 은행 부행장급 관계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은행권 독자적 플랫폼에 대해 공식적으로 반대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분위기가 바뀌었다는 게 은행권의 설명이다.
간담회 후 은행연합회는 최근 2주간 은행들에 다시 공공 플랫폼 참여 의사 등을 물었고, 다수의 은행이 공공 플랫폼 독자 구축을 지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인터넷은행들은 독자적인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보다는 기존의 핀테크와 연계한 플랫폼을 활용하는 게 낫지 않겠냐는 의견을 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의견을 취합해 시중은행들은 은행연합회가 운영하는 '금리비교·대환대출 플랫폼' 구축을 다시 추진한다.
개별 은행은 이 공공 플랫폼뿐 아니라 빅테크·핀테크가 준비 중인 대환대출 플랫폼에도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다.
지금까지 은행들은 빅테크·핀테크가 주도하는 대환대출 플랫폼에 참여하는 데 여러 이유로 난색을 보여왔다.
'자유로운 대출 갈아타기를 통한 소비자 편익 증진'이라는 대환대출 사업 명분에는 반대하지 않지만, 민간 플랫폼에 지불해야 하는 많은 수수료가 큰 부담인데다 민간 플랫폼 참여를 계기로 금융산업 구조상 시중은행의 '빅테크·핀테크 종속'이 더 빨라질 것이라는 두려움도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플랫폼에 참여해봤자 은행으로서는 금리 경쟁만 치열해질 뿐 얻는 것은 많지 않다"며 "결국 수수료와 접속자 증가로 플랫폼 운영 IT(정보기술) 기업의 배만 불려주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일단 은행들의 결정을 존중한다는 입장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은행의 자율적인 결정을 금융위가 반대할 이유는 없다"며 "은행들의 독자적인 플랫폼과는 별도로, 10월 출시를 목표로 추진해왔던 플랫폼 기업의 대출금리 비교 서비스와 금융결제원의 대환대출 인프라 연동 시스템은 그대로 진행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은행들의 독자적 플랫폼이 현재 일부 핀테크 플랫폼과 연계해 제공하는 서비스보다 다양한 대출상품을 제공하는 등 더 낫다는 것을 보여줘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금융당국이 추진하는 대환대출 플랫폼은 실무 협의체 구성을 마친 상태다. 협의체는 금융결제원과 각 금융협회 관계자, 이들이 추천한 민간위원으로 구성된다. 이달 초에는 플랫폼 참여 의사를 밝힌 토스, 카카오페이 등 10여개 핀테크 기업 중 실제 사업을 맡을 2∼3곳이 결정될 예정이다.
[그래픽] 대출 갈아타기 플랫폼 개념도 |
nomad@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