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인프라 예산 확보위해 가상화폐 규제"…美 정치권 찬반 대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수환 기자] 미국 정치권에서 사회기반시설 예산 확충을 위한 가상화폐 규제 방안을 놓고 정치권 내에서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3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는 공화당 패트릭 투미 상원의원을 포함한 일부 의원들은 1조 달러에 달하는 인프라 예산을 위해 가상화폐 거래 내역을 상세히 보고하자는 방안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백악관과 공화당 소속의 롭 포트먼 상원의원을 비롯한 야당 의원들이 국세청(IRS)에 가상화폐 거래 신고 수준을 상향하는 데 합의하자 반발한 것이다.

여야가 합의한 사항은 크게 2가지로서 우선 1만 달러 이상을 가상화폐로 지출시 IRS 보고를 의무화했다.

아울러 가상화폐 브로커의 정의를 명확히 하면서 이들의 특정 디지털 자산 거래 내역도 신고토록 했다.

이 방안은 여야가 예산 확충에 따른 재원 마련을 위해 몇 달간 협상을 벌인 끝에 마련했다.

정책이 시행될 경우 자발적인 가상화폐 거래 내역 신고를 늘리고, IRS는 이를 근거로 세금 회피를 추적할 수 있다. 천문학적 규모의 인프라 법안 재원 마련을 위해 여야가 옥신각신하던 중 대안으로 급부상했다.

이에 대해 초안에 담긴 규제 조항이 너무 광범위해 가상화폐의 브로커뿐만 아니라 비집중형 네트워크 거래를 실현하는 데 중요한 이른바 '비트코인 채굴자'까지 엄중히 단속해 위축시킨다는 게 투미 의원의 주장이다.

은행위원회 소속인 투미 의원은 2일 발표한 성명에서 "결과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의회가 세금 신고를 강화하는 방안을 서둘러서는 안된다"라며 "지금 방안으로는 안되고 새로운 수정안을 제시하겠다"라고 말했다.

반면 포트먼 의원은 대변인을 통해 "법안 초안에서 브로커를 제외한 소프트웨어 개발자나 채굴자에게 IRS 보고를 의무화하지 않고 있다"라며 "다만 어떤 개인이나 조직이든지 브로커 역할을 할 때만 보고를 의무화했다"라고 반박했다.

산업계에선 이러한 규제가 가상화폐 시장의 성장 자체를 저해할 수 있다고 반발하는 중이다.

만약 업계의 반발에 따라 IRS 보고를 강화하려는 법안이 약화될 경우 인프라 예산의 재정 확충 방안이 흔들릴 수 있다고 WP는 전했다.

김수환 기자 ksh205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