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01 (일)

이슈 라임자산운용 환매 중단 사태

KB증권, 월 1만원 '프라임 클럽 서비스' 가입자 28만명 돌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KB증권은 소액의 구독료(월 1만원)로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Prime Club 서비스(프라임 클럽 서비스)' 가입자수가 28만명을 돌파했다고 5일 밝혔다

프라임 클럽 서비스는 자산관리 서비스의 사각지대로 인식됐던 소액투자자 및 온라인 고객들에게 MTS 'M-able'을 통해 투자정보를 적시에 제공하고,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경우 유선 및 MTS 'M-able', HTS 'H-able' , 홈페이지를 통해 프라임PB의 컨설팅까지 제공한다.

구독이 필요한 유료정보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가입자수가 증가하고 있어, 증권업계의 새로운 비즈니스로 주목받고 있다.

KB증권 측은 서비스의 인기요인으로 ▲자산의 규모를 따지지 않고 가입만 되어 있다면 구독료 외 별도 수수료 없이 프리미엄 자산관리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별화된 전담 PB제도 ▲ 담당조직인 프라임센터의 수평적 조직 문화로 신속하게 의사를 결정하고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해 고객의 불편 사항을 개선한 것 등이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먼저 전담 PB제도의 경우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라임 PB들이 상담 후 고객의 별점 평가를 통한 만족도 기반 평가를 받도록 돼 있어 고객 중심의 자산관리 서비스에 집중할 수 있는 만큼 만족도가 높다. 고객은 다양한 채널을 통한 실시간 1:1 상담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에게 맞는 PB를 '나만의 전문 상담가'로 지정해 지속적인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다. KB증권은 현재 프리미엄 자산관리 컨설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유선, 모바일, PC뿐만 아니라 카카오톡을 통해서도 컨설팅을 받을 수 있도록 채널을 확장할 계획이다.

프라임 클럽 서비스를 담당하는 프라임센터를 지원하는 M-able Land Tribe의 애자일 조직 체계도 고객 불편 사항을 신속하게 개선해 만족도를 높이는데 큰 역할을 했다. 애자일 조직체계는 수평적 조직 문화와 함께 마케팅·업무기획·IT개발 등 기능별 인력을 통합 구성해 e-biz기획에서 IT개발까지 신속한 업무 추진이 가능해 프라임 클럽 서비스를 신속히 지원할 수 있다.

이외에도 프라임 클럽 서비스는 가입 고객들에게 프라임 클럽 전용 투자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주식투자자의 경우 장 개시부터 종료시까지 프라임 증권 방송을 통해 모닝투자전략, 장중 시황 방송 등 발 빠른 정보를 받아볼 수 있다. 최근에는 1일 1종목 '오늘의 추천주'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해 고객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주식초보자들을 위한 '주린이 백과사전'을 통해 고객 눈높이에 맞춘 콘텐츠도 제공 중이다.

KB증권은 코로나19 본격 확산 전부터 비대면 고객 전담 조직인 프라임센터를 오픈(2020년 2월)하고 프라임 클럽 서비스를 내놓으며(2020년 4월) 언택트 마케팅을 선도했던 것처럼 혁신적인 서비스를 선보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KB증권은 신규 MTS인 'M-able 미니'를 출시할 예정이다. 'M-able 미니'는 라이브커머스처럼 증권 방송을 시청하면서 화면을 벗어나지 않고 바로 주식을 주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주식거래 플랫폼이다.

박정림 KB증권 대표이사는 "자산관리는 그간 고액자산가들만 받을 수 있는 전유물처럼 여겨졌지만 KB증권은 전국민이 디지털 채널과 프라임센터, 영업점의 PB들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채널을 통해 자산관리를 받을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나가고 있다" 면서 "앞으로도 국민의 평생 투자파트너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프라임 클럽 서비스는 KB증권 홈페이지 또는 MTS 'M-able'이나 홈페이지를 통해 가입할 수 있다. 현재 서비스 최초 신규 가입 고객에겐 3개월 구독료 무료 혜택을, 자동이체 신청 고객들을 위해선 금융상품 할인 쿠폰 지급 혜택을 제공 중이다. 다만 해당 서비스는 투자 참고용이며, 투자결과에 따라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