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이슈 인공위성과 우주탐사

[우주를 보다] 지하에 바다가?…적외선으로 본 ‘얼음 위성’ 가니메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목성 탐사선 주노가 촬영한 가니메데. 사진=NASA/JPL-Caltech/SwRI/ASI/INAF/JIRA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태양계에서 가장 큰 위성인 목성의 달 가니메데의 새로운 이미지가 공개됐다. 지난 6일(현지시간) 미항공우주국(NASA)은 목성탐사선 주노(Juno)의 탐사 10주년을 자축하는 내용과 함께 가니메데의 적외선 이미지를 공개했다.

기존의 봐왔던 가니메데의 모습과 또 다른 이 사진은 지난달 20일 주노가 근접 비행 중 장착된 적외선 오로라 탐지기(JIRAM)로 포착했다. 굳이 위성을 적외선으로 촬영하는 이유는 인간의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파장을 통해 가니메데의 '속'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다.

가니메데는 너무 추운 나머지 표면의 물이 단단히 얼어붙어 얼음 지각을 이루고 있는 위성으로, 지하에 거대한 바다가 숨겨져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신문

가니메데의 내부 구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달 스웨덴 왕립공대(KTH) 로렌츠 로스 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꽁꽁 얼어붙은 표면의 얼음이 승화해 만들어진 수증기를 대기에서 처음으로 포착하는데 성공했다. 이같은 수증기 발견이 중요시되는 이유는 물이 생명체 존재의 기본 요건이기 때문이다. 곧 가니메데에 숨겨진 바다 속에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에 힘을 실어주는 셈이다.
서울신문

목성 탐사선 주노의 그래픽 이미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태양계 위성 중 가장 덩치가 큰 가니메데는 지름이 5262㎞에 달해 ‘건방지게’ 행성인 수성보다도 8% 크다. 가니메데는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자작 망원경으로 발견한 목성 4대 위성 중 하나로, 나머지 셋인 칼리스토, 이오, 유로파 등과 함께 갈릴레이 위성으로 불린다.

한편 주노는 2011년 8월 5일 발사된 뒤 2016년 7월 목성 궤도에 진입했다. 이후 목성을 공전하며 지구에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