쑥쑥 오르는 마이너스통장 금리
부동산 영끌·주식 빚투 열풍에 금리 올라도 대출수요 계속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 "연봉 오르고 재산도 더 많아졌는데 작년에 만든 연 금리 2.1%짜리 마이너스통장(마통) 금리가 이번 갱신 때 3.3%로 올랐어요."
한국은행이 이르면 이달 중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한 가운데 대출자들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특히 쉽게 끌어다 썼던 마통을 비롯한 신용대출 금리가 치솟으며 이자 부담이 급격히 커져서다. 올해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액이 78조원을 넘어서는 등 강력한 규제 약발도 전혀 먹히지 않는 상황에서 기준금리 인상으로 원리금 상환 부담 증가를 감당하지 못하면 금융 부실로 비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12일 은행연합회 및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이 지난 6월 중 취급한 마통 금리 평균은 연 2.92~3.53%이다. 1년 전 2.62~2.97%와 비교하면 0.6%포인트 가량 상승했다. 같은 기간 인터넷은행인 카카오뱅크도 연 1.14%포인트 높아졌다.
신용대출 금리가 오른 것은 은행들이 당국의 주문에 맞춰 우대금리 또는 한도 축소를 통해 가계대출 총량을 조절하고 있는 데다 금리산정에 기반이 되는 은행채 1년물 금리가 오른 영향이다. 문제는 금융당국의 의도대로 금리가 오르면 대출 수요가 줄어들어야하지만 오히려 빚을 내는 수요자들은 갈수록 늘어나고 서민들의 빚 부담만 더 커졌다는 데 있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과 주식시장에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 빚투(빚내서 투자) 열풍이 가라앉지 않는 데다, 코로나19 장기화 영향으로 기존 빚을 상환하지 못할 정도로 살림살이가 팍팍해졌기 때문이다.
실제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1~7월 전체 금융권의 가계대출 순증액은 78조8000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같은 기간 45조9000억원 보다 32조9000억원(71.6%) 폭증했다. 이는 코로나19 발생 이전이었던 2019년 1∼7월 증가 폭 23조7000억원의 3.3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가계대출 여전히 급증세...연간 증가율 관리목표 5~6%의 두 배 수준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0% 대출 규제가 적용됐던 7월 한달만 놓고봐도 대출 증가세는 뚜렷하다.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15조2000억원 증가해 6월 증가율 10조3000억원을 넘어섰다. 7월 말 가계대출 잔액의 전년동월 대비 증가율은 10%로 연간 증가율 관리목표 5~6%의 두 배 수준으로 뛰었다.
가계대출 증가율은 작년 11월부터 올해 3월까지 5개월간 8∼8.5% 범위에서 움직이다가 4월부터 7월까지 4개월간은 9.6∼10%의 높은 수준에서 오르내리고 있다. 업계에서는 금리인상 위기감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가격통제 실패로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이 확대된 데다 카카오뱅크 등 공모주 청약 열기로 마통을 포함한 신용대출이 크게 늘어난 것을 주 원인으로 꼽고 있다.
금융당국이 총 가계부채 증가율 5~6%선 관리를 목표로 감독망을 촘촘하게 강화하기로 하고 은성수 금융위원장 역시 이를 금융지주 회장들에게 노골적으로 주문한 상황이라 연말까지 대출 증가율을 3∼4%로 억제하기 위한 추가 신호가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다만, 부동산·주식 투자 등 대출 증가를 유인하는 요인들이 가라앉지 않을 경우 이자 부담만 가중시키는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박성진 한국은행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주택매매, 전세 관련 자금 수요와 주식 등 위험자산 투자를 위한 기타대출 수요, 코로나 관련 생활·사업자금 수요 등이 여전히 많기 때문에 가계대출 증가세가 크게 둔화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