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레반의 한 고위급 인사가 탈레반 최고 지도자인 히바툴라 아쿤드자다가 아프가니스탄의 새 지도자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아프간에는 민주주의 체제가 없을 것이며, 이슬람법에 따라 통치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이터통신은 18일(현지시간) 탈레반의 의사결정에 접근할 수 있는 와히둘라 하시미와의 인터뷰 내용을 전하며 이같이 보도했다. 하시미는 인터뷰에서 “탈레반 지도부회의가 아프간을 통치하고 최고 지도자인 아쿤드자다가 전체 지도자로 남을 것 같다”며 “아마도 아쿤드자다의 대리인이 대통령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1년 8월 18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카불에서 CNN의 특파원 클라리사 워드가 뉴스를 보도중이다. CNN·A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는 또 “아프간에는 그 기반이 없기 때문에 민주주의 체제는 없을 것”이라며 “아프간에 어떤 형태의 정치시스템을 적용해야 하는지는 명확하고, 이슬람 율법이 바로 그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아프간 국민 99.99%가 무슬림이며 우리는 이슬람법을 적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자신이 이번 주 후반 아프간 통치 문제를 논의할 탈레반 지도부 회의에 참석할 것이라고도 했다.
하시미는 그러면서 이슬람 율법 학자가 여성의 역할과 여학생 등교 허용 여부 등을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여성이 히잡을 쓸지 부르카를 입을지 아니면 아바야에 베일을 착용할지 등은 율법 학자의 결정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부르카는 검은 천으로 얼굴까지 가리는 복장이고, 아바야는 얼굴을 빼고 목부터 발끝까지를 가리를 검은색 옷이다.
●
여성 기자와 인터뷰 한 ‘탈레반’
●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한 탈레반은 처음으로 국내 여성 기자의 취재 활동을 허용했다. 탈레반 대원 앞에서 얼굴을 드러내고 1인 시위한 여성을 구타하지도 않았다. 국제 사회에서 ‘정상국가’로 인정받기 위해 외신과 전 세계의 눈을 의식한 것이다.
뉴욕타임스(NYT)는 지난 17일 아프간 방송 바노TV의 여성 기자인 자하라 나비가 수도 카불의 검문소에서 탈레반 대원들을 인터뷰하고 그들의 사진까지 찍었다고 보도했다. 현지 매체 톨로뉴스의 여성 앵커 베헤슈타 아르간드도 이날 탈레반 미디어팀 간부인 몰로이 압둘하크 헤마드와 나란히 앉아 인터뷰했다.
톨로뉴스의 여성 앵커 베헤슈타 아르간드가 17일(현지시간) 탈레반 미디어팀 간부인 몰로이 압둘하크 헤마드와 나란히 앉아 인터뷰하고 있다. 톨로뉴스 공식 트위터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NYT는 “여성 언론인들의 취재 활동은 과거에는 거의 상상도 할 수 없었다”고 전했다. 탈레반이 CNN 등 서방 매체 여성들과 인터뷰한 적은 간혹 있지만, 국내 여성 기자의 인터뷰에 응한 것은 처음이다. 톨로뉴스를 소유한 모비그룹 대표 사드 모흐세니는 트위터에 리포팅하는 여성 기자들의 사진과 함께 “오늘 아침 카불을 오가는 우리의 용감한 여성 기자들”이라고 올렸다. 톨로뉴스는 탈레반의 카불 점령 첫날인 지난 15일 신변 위협을 우려해 여성 기자들을 집으로 돌려보냈다가 이날 다시 출근시켰다.
●
‘이슬람 율법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만
보장하겠다는 여성인권
●
톨로뉴스를 소유한 모비그룹 대표 사드 모흐세니는 17일(현지시간) 트위터에 리포팅하는 여성 기자들의 사진과 함께 “오늘 아침 카불을 오가는 우리의 용감한 여성 기자들”이라고 올렸다. 트위터 화면 갈무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외신들은 그러나 “탈레반이 여성이 일하거나 얼굴을 내놓고 밖에 돌아다니는 것을 얼마나 오래 참을지는 미지수”라고 평가했다. 당장 폭스뉴스는 18일 타크하르주의 주도 탈로칸에서는 전날 한 여성이 부르카 없이 외출했다가 총에 맞아 숨졌다며 피투성이가 된 여성과 주변 사람들의 어쩔 줄 몰라하는 모습이 찍힌 사진을 공개했다.
NYT는 이날 탈레반이 아프간 국영 TV의 유명 앵커인 카디자 아민을 비롯한 여성 직원들을 무기한 정직시켰다고 전했다. 아민은 “다음 세대는 아무것도 갖지 못한 채 우리가 20년간 이룬 모든 것이 사라질 것이다. 탈레반은 탈레반이다. 그들은 변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CNN은 탈레반이 최근 현지 여성 기자 두 명의 집을 기습 방문했다고 전했다. 한 저명한 여성 언론인은 탈레반으로부터 “너희 집에도 곧 가겠다”는 협박 전화를 받았다고 CNN에 말했다.
탈레반은 인권에 여러가지 제약을 뒀다. 언론 보도는 ‘이슬람 가치나 국익에 반하면 안 된다’고 했고, 여성의 사회생활도 ‘이슬람 율법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만 보장한다고 했다. 최근 몇 달 새 여성들이 거리에서 부르카를 입지 않았다는 이유로 탈레반에게 채찍질을 당한 사례도 있다고 NYT는 전했다.
●
이종섭 기자 nomad@khan.kr
김윤나영 기자 nayoung@khan.kr
플랫팀 twitter.com/flatflat38
▶ [뉴스레터] 식생활 정보, 끼니로그에서 받아보세요!
▶ 경향신문 프리미엄 유료 콘텐츠가 한 달간 무료~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