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탈레반, 아프간 장악

‘아프간 사태’ 논의 위해서 G7 정상 머리 맞댄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오스트리아는 “아프간 난민 추가 수용 불가”

세계일보

미 해병대가 제공한 20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 공항 대피 작전 모습. 카불=AP뉴시스


이슬람 무장 조직 탈레반이 20년 만에 다시 정권을 장악한 아프가니스탄 사태를 논의할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열린다.

올해 G7 의장국인 영국의 보리스 존슨 총리는 22일(현지시간) 트위터에 글을 올려 24일 G7 긴급 정상 회의를 소집한다고 밝혔다. 존슨 총리는 “국제사회가 (난민들의) 안전한 대피를 보장하고, 인도주의적 위기를 예방하며, 아프간인이 지난 20년간 누려온 혜택을 지켜낼 수 있도록 협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화상으로 진행하는 회의에는 존슨 총리를 비롯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쥐스탱 트리도 캐나다 총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마리오 드라기 이탈리아 총리,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가 참석한다.

한편 반(反)난민 정책을 고수해온 오스트리아 총리는 아프가니스탄 난민을 추가로 수용할 의사가 없다고 밝혔다. dpa통신에 따르면, 제바스티안 쿠르츠 총리는 TV 채널 PULS 4와의 인터뷰에서 사회 통합의 어려움 등을 언급하며 아프가니스탄 난민 추가 수용 여부에 대해 “내 임기 중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이슬람 무장 세력 탈레반이 재장악한 아프간의 위기 상황을 개선하기위해 국제 사회가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아프간 국민들이 투르크메니스탄이나 우즈베키스탄 등 이웃 국가에서 원조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오스트리아는 2015년 시리아 등에서 나온 난민이 유럽으로 들어갈 때이용한 주요 경로 중 한 곳이었다. 우파 성향의 쿠르츠 총리는 당시 이들에 대해 강경 정책을 폈다. 전체 인구가 약 900만명인 오스트리아 내 아프간 인구는 4만여명 수준이다.

이희진 기자 heeji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