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징벌적 손배' 언론중재법

언론중재법 강행·코로나 확산 여파에… 文·與 지지율 동반 하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문재인 대통령.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과 여당의 지지율이 동반 소폭 하락세를 보였다. 국민의힘 지지율도 소폭 하락해 더불어민주당 지지율과의 격차는 2주 연속 오차 범위 내를 기록했다.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얼미터는 23일 YTN 의뢰로 실시한 8월 3주차 주간집계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문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도는 전주보다 0.4%포인트 낮아진 41.6%(매우 잘함 21.6%, 잘하는 편 20.0%)를 기록했다. ‘국정 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 평가는 1.1%포인트 높아진 55.7%(매우 잘못함 40.5%, 잘못하는 편 15.1%)로 집계됐다. ‘모름·무응답’ 비율은 0.5% 포인트 감소한 2.8%다. 부정 평가와 긍정 평가 간의 차이는 14.1%포인트로 3주 연속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배철호 리얼미터 전문위원은 “민주당의 언론중재법 강행 처리와 코로나 확진자 증가세에 후반까지 하락 양상 보였지만, ‘황교익 이슈 정리’, 국민청원 4주년 직접 답변과 ‘백신 예산 편성’ 발언으로 주 후반 낙폭을 줄였다”며 “진보층에서는 지지율이 하락했지만(72.7%→68.0%) 중도층에서는 오히려 강보합세(35.8%→37.6%)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전주와 비교해 0.2%포인트 낮아진 37.1%를 기록했고 민주당 지지율은 0.7%포인트 하락한 32.8%로 집계됐다. 두 정당이 나란히 약보합 양상을 보인 가운데, 양 정당의 지지율 격차는 4.3%포인트로 지난주에 이어 여전히 오차범위 안으로 나타났다.

리얼미터는 국민의힘 지지율 변화와 관련해 ‘윤석열 정리’ 발언을 두고 이준석 대표와 원희룡 후보 간에 불거진 논란과 경선 규칙을 둘러싼 서병수 위원장 사퇴, 국민의당과의 합당 결렬 이슈 등이 더해지며 보수층에서는 지지율이 3.3%포인트 상승(61.3%→64.6%)했지만 중도층에서는 3.6%포인트 하락(43.4%→39.8%)하는 결과가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민주당은 음식 칼럼니스트 황교익 씨의 경기관광공사 사장 임명을 둘러싸고 이재명 경기지사와 다른 대선 후보 간 대립이 이어지고 당 지도부까지 개입한 가운데, 주요 지지층인 진보층에서는 지지율이 3.7%포인트 하락(58.6%→54.9%)하고 중도층에서는 2.2%포인트 상승(29.7%→31.9%)했다. 다만 민주당 지지율의 하락세는 지난 19일 이해찬 전 대표가 수습에 나서고 황씨가 사의를 밝히며 다소 제동이 걸렸다는 게 리얼미터의 해석이다.

세계일보

황교익씨(왼쪽)와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지난 6월 유튜브 채널 ‘황교익 TV’를 촬영한 모습. 황교익TV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밖에 열린민주당 지지율은 1.2%포인트 오른 7.1%, 국민의힘과의 합당이 결렬된 국민의당 지지율은 0.4%포인트 오른 6.2%로 나타났다. 뒤를 이어 정의당과 기본소득당 지지율은 전주와 동일하게 각각 3.4%, 0.6%를 기록했으며 시대전환은 0.1%포인트 하락한 0.5%의 지지율을 보였다. 무당층 비율은 지난주와 같은 11.2%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무선 전화면접(10%) 및 무선(80%)·유선(10%) 자동응답 혼용 방식, 무선(90%)·유선(10%) 병행 무작위 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됐다. 18세 이상 유권자 3만8004명에게 통화를 시도한 결과 최종 2013명이 응답을 완료해 응답률은 5.3%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2.2%포인트다.

박지원 기자 g1@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