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이슈 [연재] 아시아경제 '과학을읽다'

한국형 ICBM 나올까?…따로 놀던 과학·국방, 안보 위해 뭉친다[과학을읽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국방과학연구소·국방기술진흥연구소와 업무협약 체결

국방기술혁신협의체 구성 운영 등 연구 개발 협력 나서

아시아경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자료사진. 출처=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정부 출연 연구기관들의 국방 분야 연구개발(R&D) 참여가 대폭 확대된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등 출연연들의 연구 성과와 노하우, 인프라, 인적 자원 등이 국방 분야에서 더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어 결과가 주목된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NST)는 24일 오전 방위사업청 산하 출연기관인 국방과학연구소(ADD), 국방기술진흥연구소와 국방 연구개발 협력을 위한 3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업무협약의 주요내용은 ▲ 국방기술혁신협의체 구성·운영 ▲ 국방과학기술 조사·기획 및 연구개발 과제 발굴·참여 ▲ 국방분야 혁신 주체별 역할 정립 및 중·장기 R&D 전략 수립 ▲ 인력 교류 활성화 등이다. 이번 협약으로 국방 R&D 과제의 기획단계부터 수행에 이르기까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기계연구원(KIMM) 등의 출연연 전문가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종합플랫폼이 마련된다.

김복철 NST 이사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NST 소관 출연연과 국방 분야 출연기관이 보다 실질적으로 융합하고 협력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면서 "대한민국의 우수한 국방과학기술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만들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같은 과학 분야 공공연구기관들의 국방 R&D 참여 확대는 최근 들어 각 분야 첨단 기술과 군사 분야간 간격이 사라지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나 국산 항공모함,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등이 대표적 사례다.

예컨대 누리호의 경우 해외에선 사실상 '한국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 전용될 수 있다고 본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5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미국과 미사일지침 폐지에 합의한 후 따로 놀던 한국의 과학·국방 연구기관들의 연구개발 협력 움직임이 가속화되면서 주목을 끌고 있다. 국방 분야 R&D를 주도해 온 ADD 등은 그동안 미사일지침으로 인해 고체 연료를 이용한 장거리 로켓 개발이 불가능하다는 한계를 안고 있었다. 반면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항우연)은 지난 10여년간의 연구 끝에 액체연료(케로신)을 이용한 우주 발사체를 개발했는데, 사거리로 따지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급이다. 북한도 ICBM을 발사하면서 '위성 발사체'라고 주장한다. ADD와 항우연이 서로 보완·협력할 경우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한국형 ICBM 개발이나 우주선에 부착할 고체 연료 부스터 개발 등의 합작이 가능하다.

지난해 국방부가 공식화시킨 한국형 경항공모함 건조에서도 정부 출연연과 국방 R&D 기관들의 협력이 이미 진행 중이다. 한국기계연구원, 항우연 등이 ADD와 함께 핵심 기술인 갑판 소재, 캐터펄트 개발 등에 참여 중이다. 항우연 주도로 진행되는 KPS도 미국이 제공하는 GPS보다 훨씬 정밀한 지도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국방 분야와의 협력 및 활용은 필수다.

NST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ADD 등을 중심으로 정부 출연연과의 R&D 협력을 적극 추진하고 나서면서 이번에 업무 협약을 체결하게 됐다"면서 "발사체나 소재 등 향후 구체적인 협력 분야와 기술 등을 정할 예정이며, 국방 R&D 예산 중 5%도 되지 않던 정부 출연연의 참여 여지가 넓어지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과기정통부와 ADD는 지난 20일 이경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참가한 가운데 '한국형 DARPA' 시스템 도입, 즉 국방 R&D 분야에서 첨단전략기술 확보와 도전적인 연구개발 활성화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DARPA'란 미국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기획국으로, 실패해도 문책하지 않고 국가안보를 위한 파괴적 혁신기술에 과감하게 투자하는 연구개발 방식을 상징한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