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8 (목)

이슈 탈레반, 아프간 장악

[아프간전 종식] ② 美 철군은 하지만…IS보복·책임론 '불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응징타격-재공격 악순환' 군사작전 확대 우려…탈레반과 재충돌 가능성도

시간 쫓긴 대피작전에 미군·민간인 희생…바이든 '정치적 책임론' 확산

연합뉴스

가슴에 손 얹고 아프간 전사자 운구 지켜보는 바이든 부부 [AP=연합뉴스]



(워싱턴=연합뉴스) 이상헌 특파원 = 미국은 철군과 함께 아프가니스탄 전쟁 종료를 선언했지만, 이 지역을 둘러싼 긴장감은 오히려 더 고조된 상태다.

철군의 명분은 9·11 테러범에 책임을 물으며 목적을 달성했고 더는 미군을 희생시킬 수 없다는 것이었지만, 실제로는 탈레반에 아프간 통치권을 내준 결과를 불렀기 때문이다.

스스로 정한 철군 시한이 덫이 되면서 대피 작전이 혼란에 빠지고 막판에 불거진 테러로 미군 13명을 포함해 약 170명이 희생되면서 조 바이든 대통령은 최악의 위기에 몰렸다.

철군 과정에서 테러를 가한 것으로 지목된 이슬람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의 아프간 지부 'IS 호라산'(IS-K)에 대한 보복 공격이 더해지면서 자칫 수렁에서 빠져나오려다 또 다른 수렁에 빠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일단 미국으로선 IS-K '응징'이 최대 현안으로 부상했다.

아프간에서 철군하면서도 아프간 내 군사작전을 지속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바이든 대통령도 보복 타격을 계속할 것임을 천명했다.

그는 철군을 사흘 앞둔 지난 28일 첫 보복 타격 후 "이게 마지막이 아니다. 계속 추적해 대가를 치르게 하겠다"고 했다. 군 지휘부에 전권을 부여하기까지 했다.

실제로 바로 다음 날 미군의 2차 핀셋 타격에 이어 IS-K의 카불 공항 로켓 공격이 이어졌다. 이처럼 테러와 보복의 악순환이 반복된다면 아프간 내 미국의 군사작전 규모가 커질 수도 있다.

연합뉴스

카불 공항 담 위로 아프간인 끌어올리는 미 해병대원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이 경우 또 다른 문제는 아프간을 장악한 탈레반이다. 시한 내 철군을 경고해왔던 탈레반이 '자국' 내에서의 미군 작전을 보고만 있을 리 만무하다.

당장 탈레반은 미군의 IS-K에 대한 첫 보복 공습 직후 "명백히 아프간 영토에 가해진 공격"이라며 미국을 비난했다. 보복을 명분으로 한 미국의 아프간 내 군사작전이 탈레반과 마찰을 일으킬 수도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탈레반이 '정상 국가'를 지향한다고는 하지만 관계 설정 역시 과제다. 바이든 정부는 '탈레반 정부'를 인정하지 않고 있고 그 가능성 역시 현재로선 크지 않다.

탈레반은 아프간 장악 이후 포괄적 정부 구성, 여성 인권 존중, 외국 협조자 사면령, 약탈 금지 등의 유화적 메시지를 내놨지만 지켜질지 미지수다.

오히려 아프간 국기를 든 시위대에 발포하고 부르카(얼굴까지 검은 천으로 가리는 복장) 없이 외출한 여성이 총에 맞아 숨졌다는 소식이 들리고 있다.

이 때문에 탈레반이 과거처럼 샤리아법(이슬람 율법)에 따른 '공포정치'를 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만약 탈레반이 과거와 같이 인권 침해를 자행한다면 미국이 개입할 가능성이 없지 않다. 특히 바이든 행정부는 역대 어느 정부보다 인권을 탄압하는 국가를 강도 높게 비난하고 있다.

아프간을 탈출하자마자 아프간에서 탈레반과 IS-K라는 두 축을 상대해야 할 버거운 상황이 펼쳐질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연합뉴스

아프간 카불 시내의 무인기 공습 피폭 차량 [AP=연합뉴스]



철군 완료와 함께 끝난 대피 작전도 도마 위에 오를 가능성이 작지 않다.

미국에 협력한 아프간인들이 모두 탈출하지 못한 터에 이들이 탈레반에 핍박받게 되면 국제사회로부터의 비난은 물론 인권 수호국으로서 위상도 추락하게 된다.

여기에 미처 탈출하지 못한 미국 시민권자에게 문제가 생길 경우 미국 내 여론 질타를 감당하기 힘들어지는 상황이 연출되는 시나리오까지 제기된다.

이는 곧 바이든 대통령의 정치적 입지와도 직결된다.

이미 바이든 대통령은 철군 발표 4개월 만에 수도 카불이 탈레반에 함락당하는 수모를 겪으며 미국 정치권의 거센 비난에 직면해 있다. 바이든 대통령 역시 지난 8월 15일 카불이 탈레반에 넘어가자 '예상보다 빨랐다'며 오판을 시인했다.

미국 시민과 동맹 및 아프간 협력자들에 대한 보름간의 대피 작전 대혼란과 함께 IS-K 테러로 인한 대량 희생으로 귀결됐다는 지적이다.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바이든에게 더 큰 압박은 정치권의 책임론 제기다. 이미 야당인 공화당에선 하야와 탄핵 주장이 이어지고 있고, 민주당 내에서도 철군 실책론이 확산하고 있다.

민주당 지도부가 방어막을 치며 정치 공방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내년 하반기 중간선거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까지 나오고 있다.

중간선거는 바이든의 재선을 결정짓는 2024년 대선의 풍향계인 만큼 바이든 대통령으로선 아프간 철군의 합당성을 미국민에게 설득해야 할 과제를 안게 됐다.

일각에서 아프간 철군을 미국의 국익에 따라 언제든 일방적으로 미군을 철수할 수 있다는 시그널로 받아들이면서 싹튼 동맹의 의구심도 잠재워야 할 숙제다.

honeybe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