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윤석열 검찰 고발사주 의혹

윤석열 '고발사주' 의혹 제보자 "김웅, 고발장 접수하라고 해"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尹 '고발사주' 의혹 제보자 언론 인터뷰 나서

“김웅에게 자료 받아…당 전달은 안해"

정치공작 주장에 대해선 "여야 어디도 안 속했다" 부인하기도

[이데일리 이세현 기자] 여권 인사들에 대한 ‘고발사주’ 의혹을 받고 있는 윤석열 전 총장 관련 자신이 제보자라고 밝힌 A씨가 “김웅 국민의힘 의원이 당시 전화로 대검찰청에 고발장을 접수하라고 했다”고 주장했다.

이데일리

윤석열 전 검찰총장. (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A씨는 9일 JTBC뉴스룸을 통해 자신이 인터넷 매체 ‘뉴스버스’에 해당 의혹을 처음 제보했으며 현재 대검찰청에 공익신고자 신청을 한 당사자라고 밝히며 이같이 말했다. A씨는 이날 진행한 인터뷰에서 자신의 모습과 목소리는 드러내지 않았다.

그는 “사안의 심각성이 크다고 느꼈다”면서 “김웅 의원과 윤 전 총장의 기자회견을 봤고, 고민 끝에 제보자라고 밝히기로 결심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에게 자료를 받은 사실을 뉴스버스 측에 알렸을 뿐 정치 공작과는 전혀 무관하다”며 “현재 여야 어떤 캠프에도 속해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또 “김 의원에게 당시 자료를 받은 것은 맞지만 당에 따로 자료를 전달하지는 않았다. 대화방 캡처에 나온 ‘손준성’이란 인물이 검사인지도 몰랐다”라며 “김 의원이 당시 전화로 대검찰청에 고발장을 접수하라고 얘기했는데 당시엔 그 의미를 몰랐다”고도 부연했다.

이어 텔레그램 대화방 캡처 사진의 원본을 언론사에 제공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뉴스버스는 윤 전 총장이 재임하던 지난해 4월 윤 전 총장 측근으로 알려진 손준성 당시 대검 수사정보정책관(현 대구고검 인권보호관)이 당시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소속 국회의원 후보였던 김웅 의원에게 고발장을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고발장에는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과 최강욱·황희석 당시 열린민주당 비례대표 국회의원 후보 등 여권 인사들의 이름이 담겼다.

이에 대해 윤 전 총장은 지난 8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국회 현안질의에서 부른다는 얘기가 있는데 얼마든지 응하겠다. 신속한 조사를 원한다”라며 의혹을 강하게 부인했다. 또 공익신고자 신청으로 인적 사항 공개를 막은 제보자를 향해서도 “그렇게 폭탄을 던져 놓고 제보자는 숨지 말고 당당히 나와 디지털 문건의 출처 작성자를 정확히 대라”고 촉구했다.

김 의원도 “당시 총선 선거운동에 집중하느라 저에게 제보되는 많은 자료에 대해 검토할 시간적 여유조차 없었다”면서 “손 검사에게 고발장을 받았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수사를 통한 진상규명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발사주 의혹을 제보한 누리꾼은 현재 공익신고자로서 검찰의 법적 보호를 받고 있다. 대검찰청 감찰부는 이 누리꾼에게 지난주 공익신고서와 함께 휴대전화, 증거자료 등을 제출받았고 공익 신고 요건을 충족한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전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