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30 (토)

이슈 게임정책과 업계 현황

[신간] 전종수 작가 ‘게임, 편견을 넘다’ WHO…게임 대중문화 인정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포츠서울



문화콘텐츠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전종수 저자는 게임을 바라보는 시각이 지나치게 편견에 사로잡혀 있다고 주장한다.

“게임이 주는 오락적 재미를 느끼는 게이머들을 마약중독자들과 동일시하는 편견에 사로잡혀 있다”며 “이러한 편협된 시각을 깨고 게임을 대중문화의 한 축으로 인정하고 건전한 오락 매체로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전자오락 게임시대부터 스마트폰 게임시대를 거쳐오면서 게임의 긍정적인 측면에서 건전한 오락 매체로 다루어 본 적이 없다고. 그 이유는 게임 자체를 청소년의 오락으로 폄훼하고, 게임을 대중문화의 한 축으로 인정하지 않는 사회적 풍조가 한몫을 했다고 한다.

게임에 과의존 현상을 보이는 청소년을 게임중독자로 낙인찍고, 사회적으로 고립시켰다는 것이다. 이 낙인효과는 게임을 즐기지 않고, 게임 경험이 적은 성인들이 주위 지인들의 전언이나 제한된 범위 내에서 연구된 게임의 부정적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켰다고. 이로써 게임을 질병으로 정의했다고 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9년 게임을 정신과행동장애분류(ICD-11)를 개정하면서 ‘6C51’에 게임이용장애(Gaming disorder)로 분류,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 그 여파로 대한민국 정부는 2025년까지 게임을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에 도입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아래 2019년 민관협의체인 ‘게임질병대책협의회’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협의회에서 어떤 결론을 내던 사회적 파장은 클 수밖에 없을 것이다.

저자는 지난 게임의 역사 50년을 돌아보면서, 발생했던 부정적인 사건과 연구물을 검토하여, 문제점과 쟁점을 일목요연하게 풀어서 해석하고 있다. 게임중독과 폭력성의 관련성에서 출발하여 질병이라고 진단하는 연구물의 허점과 잘못된 해석까지 게임을 둘러싼 논쟁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분석했다.

게임의존자를 진단하는 ‘게임중독척도’의 문제점을 비롯하여, 게임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상담과 치료 현장의 모습을 살펴본다. 그리고 게임이 스포츠, 예술, 의학 분야 등과 접목하여 우리 생활에 깊숙이 자리 잡아가고 있는 현상을 포착하고, 게임의 미래모습을 다 같이 그려볼 수 있게 인도한다.

꿈그림 281쪽. 1만8500원.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