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굳이 위험 무릅쓰고 실익 없는 일 할 이유 없어"
朴 게이트 주장 대해선 "개연성 떨어져…조성은 코칭 가능성은 있어"
진중권 전 동양대학교 교수가 9일 오후 서울 금천구 즐스튜디오에서 열린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국민 시그널 면접’에 면접관으로 참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진 전 교수는 15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윤석열 게이트냐 박지원 게이트냐, 가장 개연적인 시나리오는 애초에 게이트 따위는 없다는 것이다. 당시 윤 전 총장은 고발을 사주할 이유가 없었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그 민감한 시기에 굳이 위험을 무릅쓰고 아무 실익도 없는 일을 할 이유가 뭐가 있겠느냐”며 “게다가 당시는 이미 하던 수사도 선거에 영향을 끼치지 않기 위해 올 스톱한 상태였다”고 말했다.
이어 “‘뉴스버스’가 이 의혹을 보도한 것은 100% 정당하다. 그리고 동기가 무엇이듯 조성은씨는 공익제보자이며, 그에 대한 인신공격은 부당하다”며 “다만 한 가지 지적하자면 ‘뉴스버스’의 보도가 입증된 ‘사실’을 넘어 근거가 박약한 ‘해석’의 영역으로 나아간 것은 문제로 보인다. ‘뉴스버스’의 기사는 여러 가정 중 가장 비개연적인 가정 위에 서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SBS 인터뷰에서 조성은이 ‘우리 원장님이나 제가 원했던, 제가 배려받아서 상의했던 날짜가 아니었다’고 한 발언을 정신분석학에서는 ‘parapraxis’(착행증)라 부른다. 말을 하다가 얼떨결에 실수로 진실을 말해 버리는 것”이라며 “하지만 모든 말실수가 다 착행증인 건 아니다. 정황에 정황이 반복적으로 겹치면 판단을 달리해야겠지만, 적어도 지금까지는 딱히 박 원장의 개입이 있었다고 단언할 상황으로 보이지는 않는다”고 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