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8 (월)

이슈 세계 금리 흐름

인플레, 세계 경제 발목 잡나...금리인상 줄 잇는다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파이낸셜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워싱턴 연방의회에서 열린 하원금융서비스 위원회에 출석해 증언하고 있다. 로이터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당혹스럽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은 지난달 29일(이하 현지시간) 유럽중앙은행(ECB)이 주최한 온라인 패널토론에서 최근 경제 흐름에 대해 당혹스럽다는 표현을 동원했다.

경제 정책 중심이 여전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확대, 델타변이 확산 억제에 집중돼 있는 가운데 공급망 병목 현상이 개선되는 대신 되레 악화하면서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이 내년까지 지속될 것이라는 점이 당혹스럽다는 것이었다.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이 결국은 정상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라면서도 생각했던 것보다 더 오래 상승 흐름을 타고 있다고 우려했다.

세계 경제가 코로나19 팬데믹 충격에서 아직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인플레이션에 발목을 잡힐 수 있다는 우려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미 물가상승률, 30년만에 최고
1일 공개된 미국의 8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상승률은 30년만에 최고를 기록했고, 유럽의 9월 인플레이션은 13년만에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했다.

PCE 물가지수는 연준이 인플레이션 기준으로 삼는 핵심 지표 가운데 하나다.

미 8월 PCE 물가지수, 유로존(유로 사용 19개국) 9월 물가상승률이 모두 큰 폭으로 오른 주된 이유는 에너지 가격 상승이었다.

팬데믹 이후 각국의 기후위기 대응과 겹쳐 화석연료 투자가 급격히 위축되고, 미국에서는 델타변이 확산 속에 유전 산업 인력 확보가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에너지 가격이 급격히 뛰고 있다.

미국의 경우 석유·천연가스 등 에너지 가격이 1년 전보다 24.9% 폭등했고, 유럽에서는 에너지 위기 속에 천연가스 가격이 석유가격으로 환산하면 배럴당 190달러 수준으로 치솟을 정도로 폭등한 것이 물가 상승의 주된 요인이었다.

반도체 부족부터 시작해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국제 공급망 차질에 따른 부품·원료 조달 문제, 항만 적체, 물류 차질 등 역시 비용 상승세를 부추기면서 물가를 끌어올리고 있다.

"유가 100달러찍고 경제위기 촉발한다"
치솟는 유가는 세계 경제에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또 다시 위기를 몰고 올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오일프라이스닷컴에 따르면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1일 분석보고서에서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에 이를 것이라면서 이렇게 되면 세계 경제가 위기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BoA는 9월 전망에서 이미 올 겨울이 예년보다 추우면 유가가 반년 안에 100달러를 찍을 수 있다고 전망한 바 있다.

BoA는 1일에는 한 발 더 나아가 100달러까지 유가가 오르면 심각한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인해 세계 경제 위기 방아쇠가 당겨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100달러 유가 전망의 주된 근거 가운데 하나는 치솟는 천연가스 가격이다.

천연가스 가격이 폭등함에 따라 화력발전소에서 이를 경유로 대체하고 있어 가뜩이나 높은 석유 수요를 더 끌어올리는 작용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유럽 천연가스 기준물인 네덜란드 TTF 가상거래소의 근월물 천연가스 가격은 올들어 400% 가까이 폭등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플랫츠에 따르면 천연가스 가격은 유럽과 동북아시아를 막론하고 모두 국제유가로 환산할 경우 배럴당 약 190달러 수준으로 뛰었다.

각국 줄줄이 금리인상
아직 경제가 팬데믹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했지만 각국 중앙은행의 금리인상 행보는 빨라지고 있다.

ECB가 9월 채권매입을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테이퍼링을 시작했고, 연준은 이르면 내년부터 시작해 2024년까지 최대 6차례 금리인상에 나설 수 있음을 예고했다.

남미 최대 경제국 브라질은 팬데믹 속에서도 지난달 22일 기준금리를 1%포인트 인상해 6.25%로 끌어올렸다. 이달 중 또다시 1%포인트 인상에 나설 가능성을 예고했다.

브라질은 지난해 2%로 낮췄던 기준금리를 연말까지 8.75%까지 끌어올릴 전망이다.

노르웨이, 체코, 멕시코, 콜롬비아, 칠레 등도 줄줄이 금리인상 대열에 동참하고 있다.

노르웨이는 지난달 23일 제로금리 정책을 포기하고 기준금리를 0.25%로 올렸고, 체코는 지난달 30일 0.75%포인트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0.5%포인트 수준의 인상을 예상했던 시장을 놀래키는 수준의 파격적인 금리인상이었다.

멕시코도 지난달 30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려 4.75%로 끌어올렸다.

같은 중남미 국가인 콜롬비아는 같은날 기준금리를 0.25% 높인 2%로 인상했다.

칠레는 8월 0.75%포인트 금리인상을 단행해 기준금리를 0.75%에서 1.5%로 올렸다. 만장일치 결정이었다.

에너지 가격부터 곡물 가격에 이르기까지 팬데믹 이후 거의 모든 물가가 오르면서 세계 경제에 빨간 불이 켜졌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