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의 칼럼 나승희 인천성모병원 뇌병원 신경과 교수
어지럼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이석증·전정신경염 등 우리 몸의 균형을 담당하는 전정기관의 이상이다. 심장 질환이 원인인 경우도 있다. 대동맥판막협착증 등 판막 질환에도 어지럼증이 생긴다. 또
3개월 이상 어지럼이 지속하는데도 각종 검사에서는 뚜렷한 이상이 없다면 ‘지속성 체위-지각 어지럼’을 의심할 수 있다. 다행히 이들 원인에 의한 말초성(기능적) 어지럼은 적절한 약물치료와 비약물적 요법을 통해 의미 있는 증상 개선이 가능하다.
반대로 가볍게 넘겨서는 안 되는 어지럼증도 있다. 뇌혈관 질환의 전조 증상으로 나타나는 어지럼증, 즉 중추성 어지럼증이다.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어지럼증이 자주,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면 뇌졸중의 초기 증상일 수 있다. 이 증상은 뇌혈관이 좁아져 혈액순환에 이상이 있거나 뇌혈관이 파열돼 나타나는 신호다. 복시나 편마비, 구음장애 등이 동반된 어지럼증의 경우 비교적 뇌의 이상 신호임을 알아채기 쉽지만, 어지럼증만 단독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자세한 진료과 검사 없이 확인되기 어려울 수 있다.
뇌종양의 경우에도 어지럼증을 느낄 수 있다. 종양이 뇌의 일부를 누르거나 뇌 내에 자리를 차지하면서 압력이 상승하면 어지럼증과 함께 심한 두통이 발생한다.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 질환에서도 지속적인 만성 중추성 어지럼증이 나타날 수 있다. 초기에는 증상이 경미해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쉽다. 드물게는 소뇌 위축이나 운동실조증 등의 초기 단계에서 어지럼증만 단독으로 발병하기도 한다. 운동 장애가 있거나 팔과 다리를 제대로 가눌 수 없는 증상과 함께 어지럼증이 나타나는 경우 의심해야 한다.
문제는 증상만으로 중추성 어지럼과 말초성 어지럼의 구분이 어렵다는 점이다. 따라서 말초성 어지럼증으로 진단이나 치료를 받고 나서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뇌가 보내는 이상 신호를 의심해야 한다.
중추성 어지럼증도 조기 진단을 통해 충분히 질환의 진행 속도를 늦추고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경미한 어지럼증이라도 몇 달씩 지속하거나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발생한다면 방치하지 말고 병원을 찾아 진료와 검사를 받고 치료 계획을 세우는 현명한 선택이 필요하다.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