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 ‘대출절벽’이 현실화되고 있다. 정부가 올 가계부채 증가율을 6%대로 관리하겠단 대출 총량규제를 거듭 밝힘에 따라, 이미 증가 규모가 한도에 다다른 기관들은 아예 일부 대출을 막아버리는 초유의 상황이 도래했다. 이러는 사이 전세 세입자나 부동산 잔금을 치러야 하는 대출 수요자들은 언제 은행 문이 닫힐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밤잠을 설치고 있다.
한국은행에 집계한 8월말 국내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046조3000억원으로 작년말 대비 5.8% 증가했다. 4대은행(KB·신한·하나·우리) 기준으로 가계대출이 9월(4조4189억원)에 8월(2조9396억원)보다 1.5배 더 늘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9월말 기준 증가율은 이미 6%를 넘은 것으로 보인다.
현재로선 은행 중 신규 부동산 관련 대출을 중단한 곳은 농협은행이 유일하지만, 국민은행과 하나은행도 이미 가계대출 증가율이 5%를 넘어 임계 수준에 근접해 있다. 소득과 신용이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이라 하더라도, 이를 보장할 수 없다는 이야기다.
실제 대출 상품은 속속 판매가 중단되고 있다. 인터넷전문은행인 카카오뱅크는 1일 마이너스통장 대출을 연말까지 막기로 결정했다. 8일부턴 고신용 신용대출과 직장인 사잇돌대출, 일반 전월세보증금 대출의 신규 신청을 막았다. 해당 대출을 이용하려면 해가 바뀌길 기다려야 한다.
세번째 인터넷은행으로 금주 출범한 토스뱅크도 문을 열자마자 손님을 받지 못할 처지에 놓여 있다. 당국으로부터 연말까지의 대출상한을 5000억원으로 가이드 받았는데, 단 며칠만에 2000억원 이상의 수요가 몰렸기 때문이다.
비교적 대출 여력이 가장 많이 남아있는 신한은행도 대출 모집인을 통한 전세대출이 곧 중단될 형편이다. 이달부터 5000억원 상한을 부여했는데 일주일만에 한도가 거의 찼다.
은행들의 대출 관리가 엄격해질수록 ‘타이밍’을 놓쳐 제도 금융권의 문턱을 넘지 못한 ‘대출 난민’들은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릴 가능성이 있다. 이럴 경우 정부의 목표치는 준수될 수 있을지 몰라도 수면 아래의 부실 위험은 커질 수밖에 없단 지적이다.
gil@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