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이슈 폭염에 전력 부족 위기

中 9월 생산자물가 10.7%↑, 역대 최고…중국발 인플레 우려(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소비자물가 0.7% 상승 그쳤지만 시차 두고 전이 가능성

연합뉴스

중국 장쑤성 난징시의 한 세탁기 공장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상하이=연합뉴스) 차대운 특파원 = 전력 대란과 석탄 등 원자재 가격 급등의 여파로 중국의 월간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이 사상 최대 수준을 기록하면서 중국발 물가 불안이 세계로 전이될 수 있다는 우려가 한층 커졌다.

14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9월 중국의 PPI는 작년 동월 대비 10.7% 상승했다. 이 같은 상승률은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96년 이후 25년 만에 최고다.

9월 PPI 상승률은 전달의 9.5%와 로이터 통신이 집계한 시장 전망치 10.5%를 모두 웃돌았다.

업종별로는 석탄채굴 업종의 출고가가 작년 동월 대비 74.9% 급등한 것을 비롯해 석유·천연가스 채굴(43.6%), 석유·석탄 등 연료 가공(40.5%), 철 및 합금을 뜻하는 흑색금속(29.4%), 화학원료(25.5%) 등 분야의 출고가 오름폭이 컸다.

둥리쥐안(董莉娟) 국가통계국 통계사는 기관 홈페이지에 올린 9월 물가 동향 분석 자료에서 "석탄과 일부 에너지 대량 소비 산업의 제품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공업 제품 가격의 상승 폭이 계속 확대됐다"고 밝혔다.

중국의 생산자물가 급등은 석탄 등 원자재 가격 급등 지속, 중국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벌어지고 있는 전력 공급 제한, 세계적인 중국 제품 수요 증가 등이 두루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로이터 통신은 "에너지 (소비) 억제와 치솟은 원자잿값의 여파로 중국의 월간 생산자물가가 사상 최고치까지 올랐다"며 "이는 이미 공급망 병목 현상으로 고전 중인 업계에 압력을 더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그래픽] 중국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
(서울=연합뉴스) 장예진 기자 = jin34@yna.co.kr


한편 9월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작년 같은 달보다 0.7% 상승하는 데 그치면서 생산자물가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 사이의 괴리가 더 커졌다.

9월 CPI 상승률은 전달의 0.8% 및 시장 전망치 0.9%보다 낮았다.

비록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아직 낮은 수준이지만 중국의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역대 최고 수준까지 치솟으면서 중국의 소비자물가 역시 곧 영향을 받기 시작하고 나아가 '세계의 공장'인 중국의 수출을 고리로 세계로 인플레이션이 전이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도 점증하고 있다.

이미 전 세계적인 공급망 혼란과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의 인플레이션 상승세로 세계 경제 둔화 우려가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의 전력대란 후폭풍이 세계 다른 국가로까지 번질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9월 CPI는 작년 동월보다 5.4% 상승했다. 미국 CPI가 5개월 연속 5%대 상승률을 이어가면서 시장에서는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졌다.

노무라증권은 중국 당국이 최근 전력대란 해소 대책의 일환으로 전기 요금 인상을 허용했다고 지적하면서 전기 요금 인상 자체만으로도 2022년 3분기까지 소비자물가를 0.4%포인트가량 끌어올릴 요인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블룸버그 통신은 "9월 중국의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거의 26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높아짐에 따라 세계 인플레이션 위험이 커지고 사업자들이 높은 가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압력이 가중되게 됐다"고 지적했다.

판테온 매크로 이코노믹스 소속 경제학자 크레이그 보텀은 최근 나타난 중국의 전력 공급 제한 문제와 관련해 블룸버그 통신에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 제조업 분야의 스태그플레이션 충격으로 보인다"면서 "중국이 전 세계 공급망에 깊게 연관돼있는 만큼 가격 상승은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의 생산자 물가 급등 추세는 안 그래도 성장 동력이 약해지고 있는 중국 경제에 또 하나의 부담 요인이 될 전망이다.

특히 원자재 가격을 제품 가격에 온전히 전가하기 어려운 많은 중국 중소기업의 경영난이 날로 가중되고 있다.

하반기에 접어들어 세계적 원자재 가격 급등, 중국 내 코로나19 산발 확산, 반도체 품귀, 헝다(恒大) 유동성 위기 등 여러 요인이 겹쳐지면서 중국 경제의 회복 동력이 뚜렷하게 약해지고 있다.

지난 1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기저효과에 힘입어 18.3%까지 올랐지만 2분기에는 7.9%로 낮아졌고 3분기와 4분기로 갈수록 분기 경제성장률이 더욱 낮아지는 흐름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골드만삭스가 최근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8.2%에서 7.8%로 하향 조정하는 등 세계 주요 투자기관들은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 눈높이를 낮추고 있다.

중국은 오는 18일 3분기 경제성장률 등 주요 경제 지표를 발표할 예정이다.

cha@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