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5 (금)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말하는 '2030세대'의 정신건강....높아지는 청년 자살률 ③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한민국 2030세대가 벼랑 끝으로 내몰렸다. 높은 청년 실업률 그리고 살아남기 위한 끊임없는 경쟁, 이러한 상황에서 대한민국의 청년 자살률은 점점 높아져만 가고 있다.

하이닥

대한민국의 자살률은 전체 OECD 국가 중 제일 높은 수준이다. 문제는 다음 세대를 이끌어갈 10~30대의 사망원인 1위 역시 자살이라는 것이다. 통계청의 조사에 따르면 2019년에만 13,799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는데, 이 수치는 하루 평균 37.8명이나 된다. 그중 자살로 인한 10~30대의 사망은 10대는 37.5%, 20대는 51%, 30대는 39%를 차지할 정도다. 전문가들은 청년들의 자살률이 높은 이유로 학업, 취업 스트레스와 같은 사회적 요인을 대표적인 원인으로 꼽는다.

많은 전문가들은 “대한민국 청년들의 우울과 자살률이 이미 위급한 수준이며, 더 늦기 전에 청년들의 정신건강 문제를 심도 있게 최우선으로 다루어야 한다”라고 앞다투어 조언한다.

벼랑 끝에 서있는 대한민국 2030세대의 정신건강, 하이닥 정신건강의학과 상담의사 김형배 원장과 자세히 알아보자.

정신건강전문의가 말하는 '청년 실업률’과 ‘2030세대 정신건강’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말하는 ‘2030세대’를 더 힘들게 만드는 것 ②

왜 점점 2030세대의 자살률이 증가하고 있나요?

자살은 어쩌면 현대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인지도 모릅니다. 과학은 발전하고 경제는 성장하며 환경은 윤택해졌지만 정작 개인의 삶은 더 고립되고 황폐화 되어가고 있습니다.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소통의 기회는 줄어들고 기능과 역할만 강조되는 시대이기도 합니다. 생명 경시 풍조, 인간의 삶에 대한 인문학적 소양이 메말라가는 것과도 연관이 있을 것입니다.

한국의 자살률이 OECD 회원국 중 불명예스러운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안타까운 사실입니다. 그중 청년과 노인층의 자살률이 심각합니다. 노인에서의 자살은 여러 가지 사회복지 정책에 힘입어 감소 추세로 나타났으나 20대 이후 자살률은 오히려 증가하였습니다.

연령층마다 자살의 이유는 다르겠지만 청년층에서의 자살은 사후 심리부검상 직업 관련 스트레스가 가장 큰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높은 실업률, 취업 계층 간 소득 차이, 경제적 어려움, 가정불화로 이어지는 연결고리가 청년층 자살의 주된 역동으로 생각됩니다. 결국 청년층에서의 자살률 증가는 높은 실업률이 그 시작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높은 실업률이 젊은 층의 자살률 증가와 연관이 있다고 할 때 그 이유를 조금만 더 생각해 보겠습니다.

첫째, 한국의 문화적 차이입니다. 유교사상, 인내와 희생, 순종과 성실을 강조하는 문화에서 성장하면서 그 결과가 공평치 않게 느껴지고 차별과 불공정함을 경험하게 되면 좌절하게 됩니다. 그리고 아무리 열심히 발버둥 쳐도 지금의 삶에서 회복되리란 희망이 보이지 않는다면 절망감에 빠지게 될 수 있는 것입니다.

둘째, 개인적인 심리적 문제입니다. 건물을 지으려면 기초공사부터 시작해서 한 층씩 건물을 올리게 됩니다. 건물 설계부터 완공까지 어딘가 부실한 부분이 생긴다면 건물이 흔들릴 수 있는 것입니다. 지금의 청년 세대는 이른 나이에 학습과 경쟁, 집단 갈등, 자극적인 시청각 환경, 가족 구조와 기능의 변화를 경험하며 자랐고 공동체보다는 개인의 가치를 우선시합니다.

안정된 환경에서 정서적인 발달을 해야 할 나이에 지적 발달만 강요당하면서 올바른 정체성 확립이 어려웠을 수도 있는 것입니다. 정서적 발달을 통해 정신적 포용성, 유연함, 사회적 정체성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다면 실업이라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한 채 위기를 극복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셋째, 사회경제적 문제입니다. 금수저, 흙 수저란 말이 이런 문제를 대표한다고 생각됩니다. 심지어 초등학생들조차 이런 말들로 친구를 나눕니다. 빈부의 격차, 기업 간 임금의 차이, 물가 상승, 중산층의 감소는 앞으로 수십 년을 열심히 살아도 집 한 채 마련하기 어렵고 결코 위로 올라갈 수 없을 것이라는 잘못된 확신을 갖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원인들이 영향을 미치겠지만 이것은 개인의 문제이기보다 사회적 문제이며 공동체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중요할 것입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도움말 = 하이닥 상담의사 김형배 원장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성진규 하이닥 건강의학기자 hidoceditor@mcircle.biz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www.hidoc.co.kr)
저작권ⓒ ㈜엠서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하이닥 공식 SNS - 페이스북 / 네이버포스트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