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

국방위마저 '대장동'…軍공제회 손실 놓고 여야 충돌(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野 '이재명 책임론'에 與 적극 엄호…野 피케팅에 오전 파행도

연합뉴스

한기호 의원 발언
(서울=연합뉴스) 전수영 기자 = 국민의힘 한기호 의원이 1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의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 조사위, 병무청, 군인공제회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날 오전 국정감사는 공제회의 대장동 투자 손실을 둘러싼 여야 충돌 탓에 파행했다. 2021.10.15 [국회사진기자단] swimer@yna.co.kr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 = 국회 국방위원회의 15일 군인공제회 국정감사에서는 대장동 개발사업 연관 손실이 도마 위에 올랐다.

국민의힘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가 성남시장 시절 성남 신흥동 택지개발에 브레이크를 걸어 해당 지역에 투자한 공제회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고 주장했다.

공제회가 2005년 주상복합 건물 예정지였던 성남 제1공단 부지에 3천791억 원을 투자했으나, 2010년 성남시의 개발구역 지정 해제로 기회비용까지 포함해 총 4천억 원에 달하는 손실을 입었다는 것이었다.

국민의힘 한기호 의원은 "전임 시장이 택지로 하겠다고 했는데 이재명 후보가 시장이 되고서 전면 공원화하겠다고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제회 기금은 회원인 군인들의 돈"이라며 "이 후보가 군인들 재산을 함부로 했다는 데 동의하지 않는가. 결정적인 손해를 입혔는데 다른 변명이 뭐가 필요한가"라고 추궁했다.

같은 당 신원식 의원도 "대장동에선 민간업자들이 3억5천만원 자본금에 1천배 이상 수익을 거뒀는데, 공제회는 자본금의 1천100배를 투입하고도 원금 회수조차 못 했다"고 비교했다.

그러면서 이 후보를 겨냥해 "군인 목돈 마련의 유일한 통로인 공제회에 막대한 손해를 끼쳤다"며 "강탈식의 계획변경이 아쉽다"고 저격했다.

연합뉴스

언쟁하는 여야 의원
(서울=연합뉴스) 전수영 기자 = 야당 간사인 국민의힘 성일종 의원(왼쪽)과 더불어민주당 김병주 의원이 15일 오전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 회의장에서 야당의 피케팅과 관련해 언쟁을 벌이고 있다. 이날 오전 국정감사는 공제회의 대장동 투자 손실을 둘러싼 여야 충돌 탓에 파행했다. 2021.10.15 [국회사진기자단] swimer@yna.co.kr


이에 민주당 안규백 의원은 "공제회의 손실 규모를 판단할 수 있는 시점이 아직 아니다"라며 "'이재명 책임론'은 이해할 수 없다"고 적극 반박했다.

그는 "공제회의 손실이 4천억 원에 달하는지도 의문이지만, 책을임 묻자면 누구한테 물어야 되겠나"라며 보수 정당 소속 전임 지자체장들의 책임론으로 되치기를 시도하기도 했다.

같은 당 윤호중 원내대표도 "공제회가 기대했던 수익을 거두지 못하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손실이 발생한 것은 아니다"라며 "앞으로 1천억 원 정도의 시세 차익이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군인들의 재산에 함부로 손실을 입혔다는 표현은 적절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양측이 공방을 주고받던 도중 민주당 간사인 기동민 의원은 야당 의원들의 이 후보 호칭과 관련, "공당의 대통령 후보인데 '이재명이'라고 하면 안 되지 않나"라며 "제가 '윤석열이'라고 얘기하나"라고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이날 오전 10시부터 감사를 시작하려던 국방위는 오후 2시가 돼서야 본격적인 업무보고와 질의에 돌입할 수 있었다. 국민의힘 의원들의 내건 '대장동' 손팻말에 민주당 의원들이 집단 반발하면서다.

앞서 국방위는 국방부에 대한 감사가 예정됐던 지난 5일에도 공제회의 투자 손실을 규탄하는 국민의힘 측 피케팅을 둘러싸고 여야가 대치하면서 끝내 회의 자체를 열지 못했다.

연합뉴스

국방위 국감장 나서는 여당 의원
(서울=연합뉴스) 전수영 기자 = 여당 간사인 기동민 의원(오른쪽)과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15일 오전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장을 나서고 있다. 이날 오전 국정감사는 공제회의 대장동 투자 손실을 둘러싼 여야 충돌 탓에 파행했다. 2021.10.15 [국회사진기자단] swimer@yna.co.kr


hanjh@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