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뉴시스] 조수정 기자 = 성남 대장동 개발 로비·특혜 의혹의 핵심 인물인 남욱 변호사가 18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에 도착한 후 검찰에 체포돼 이동하고 있다. 천화동인 4호 소유주인 남 변호사는 검찰 수사 전 미국으로 떠났다가 한 달 만에 귀국했다. (공동취재사진) 2021.10.18.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장동 개발 의혹 핵심인물인 남욱 변호사가 18일 새벽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하자마자 검찰에 체포됐다. 돌연 미국으로 출국한 남 변호사가 외교부의 '여권 무효화' 결정이 나온지 약 5일 만에 스스로 귀국하면서 여권 무효화 제도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졌다.
'여권 무효화'는 외교부가 우리나라 여권 소지자에게 내리는 '여권발급 제한조치'와 '여권반납 명령'을 묶어 부르는 표현이다. 여권법 12조와 19조는 각각 3년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죄로 체포·구속영장이 발부되거나 기소중지·수사중지된 사람이 국외에 있을 경우 외교부 장관이 여권의 발급을 제한하고, 이미 발급된 여권에 대해서도 반납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반납 명령에 응하지 않은 사람의 여권은 여권법 13조에 따라 자동으로 효력을 잃는다.
통상적으로 외교부는 수사기관의 제재 요청을 접수한 뒤 여권 무효화를 검토한다. 무효화 결정이 내려질 경우, 외교부는 해당 여권을 발급할 때 신고된 국내 주소지로 여권반납 명령이 명시된 통지서를 보낸다. 여권이 무효화된 대상자가 2주 이내에 자발적으로 반납에 응하지 않으면 외교부가 전자여권 시스템을 통해 여권을 무효화하고, 전자여권 시스템을 도입한 다른 국가에도 무효화 사실을 통보한다.
여권이 무효화됐음에도 해외에서 귀국하지 않고 있는 수사대상자로는 '장자연 사건' 관련 인물인 윤지오(34·본명 윤애영)씨가 대표적이다.
윤씨는 장자연 사건 관련 도서 출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만난 작가 김수민씨에게 명예훼손·모욕 혐의로 고소당했다. 당시 김씨 변호인측은 "'미쳐가지고', '삼류 쓰레기 소설을 쓰고 있어' 등 표현을 써 가면서 김씨를 모욕했다"며 고소 취지를 밝혔다.
이밖에 윤씨는 자신이 만든 비영리단체의 후원자 400여 명으로부터 손해배상 청구소송도 당한 상태다. 이들은 후원금 반환과 정신적 손해에 대한 배상을 요구하며 윤씨에게 3200만원을 청구했다.
유동주 기자 lawmaker@mt.co.kr, 성시호 기자 shsung@mt.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