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미 국무부, 사이버 전담부서 신설..."랜섬웨어 공격 대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미국 국무부가 사이버 전담부서를 신설한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랜섬웨어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뉴스핌

[워싱턴 로이터=뉴스핌] 신호영 인턴기자 = 지난 18일 미국 워싱턴에서 아프간 사태에 대해 정례브리핑 중인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의 모습. 2021.08.20 shinhorok@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사이버공간과 디지털 정책을 전담하는 부서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설부서는 국제 사이버공간 안보와 디지털 정책·자유에 초점을 둔다고 대변인은 설명했다.

아울러 필수·신흥기술 특별대사가 새롭게 임명될 방침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이같은 소식은 미국 기업과 정부 기관들에 대한 랜섬웨어 공격이 최근 급증함에 따라 나왔다.

랜섬은 '몸값'을 뜻하는 영어 단어로, 해커가 감염시킨 컴퓨터 시스템의 복구를 시켜주는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범죄다. 최근에는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를 대가로 협박하는 경우가 많다.

같은날 뉴욕타임스(NYT)는 미국에 대한 러시아의 새로운 사이버 공격 작전이 시작됐다고 보도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의 톰 버트 고객보안 부문 부사장은 전날 성명에서 과거 러시아 정보국과 연계된 해킹 조직 '노벨리움'(Nobellium)이 올해 600개 이상의 단체에 대한 2만3000건의 사이버 공격과 연관이 있다고 알렸다.

이는 미국의 정보 기관과 싱크탱크, 민간 기업의 예민한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는 위험을 의미한다고 NYT는 설명했다.

wonjc6@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