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씨티은행 노조 "총파업 돌입"…소비자금융 철수사태 악화일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6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 기자회견 열어

노조 "동원 가능한 강도 높은 투쟁 나서겠다"

금융당국엔 "청산은 명백한 인가대상" 성토

아시아경제

26일 오전 진창근 한국씨티은행 노조위원장이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사당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문을 읽고 있다. 사진=송승섭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송승섭 기자]한국씨티은행 소비자금융 철수 사태를 둘러싸고 노사관계가 파국으로 치닫고 있다. 사측의 단계적 폐지(청산) 계획에 노조가 총파업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는 등 조건이 갖춰지면 실제 행동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 철수 과정에 극심한 진통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26일 진창근 한국씨티은행 노조위원장은 이날 국회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어제부터 청와대와 금융위원회 앞 1인 시위에 돌입했다"면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된다면 노동조합은 총파업을 비롯한 동원 가능한 강도 높은 투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기자회견에는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배진교 정의당 의원, 상위 노동조합과 시민단체가 참석했다.

한국씨티은행은 전날 소비자금융 부문을 청산하겠다고 발표했다. 지난 4월 공식화된 이후 약 6개월간 3차례의 이사회를 통해 내린 결정이다. 통매각과 부분매각을 통한 시장철수 방안도 검토됐지만 불발됐다. 노조 측은 통매각을 제외한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고, 여의치 않다면 시간을 두고 재매각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거리두기 완화되면 대규모 총파업 가능성도
노조는 매각이 불발된 배경에 그룹사의 성급한 발표가 있다는 입장이다. 진창근 노조위원장은 "(씨티 그룹은) 4월 매각 결정 이전인 2월에 언론을 통해 한국 철수를 발표했다"며 "매각 시도를 하기도 전에 철수부터 공식 발표하고 시작하니 어떤 인수의향자가 가격과 고용승계 인원을 후려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어차피 나갈 것이니 헐값에, 고용승계 없이 내놓으라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씨티 브랜드와 일부 지분을 5년간 유지하면서 나머지 지분을 수십 곳에 나눠 매각하는 희망수량 경쟁입찰로 재매각을 추진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다면 2016년 콜롬비아씨티 사례처럼 향후 금융산업 전반의 여건이 개선될 때까지 매각을 유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 내부에서도 총파업에 나서야 한다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한국씨티은행 노조는 이미 지난 6월 총파업을 포함한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열어 99.1%의 찬성률로 통과시켰다. 이번 달 22일 투쟁기금 모금 찬반투표에서는 93.9%의 찬성률을 기록했다.

한편 금융당국을 향해서는 "청산은 명백한 금융위원회 인가대상"이라면서 "금융당국이 이를 묵인한다면, 금융소비자 피해와 직원들의 대규모 실업사태를 방관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