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1 (금)

“ESG 채권, 발행 기업 늘리려면 유인책 필요” [2021세계금융포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션1 전문가 토론

금리절감·투자자 확보 등 ‘당근’ 줘야

펀드도 표준화된 평가·공시체계 시급

전남 풍력발전사업, 기후금융 성공적

주민 참여 가능한 금융 방식 개발을

세계일보

‘2021 세계금융포럼’이 온라인으로 생중계되고 있다. 남제현 선임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ESG 채권 발행에 따른 금리절감 효과나 투자자 확보의 용이성 등 발행기업에 대한 유인책이 부족하다. ESG를 표방하는 펀드들에 대해 투자자들이 성과를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표준화된 평가 및 공시체제가 필요하다.”

26일 2021세계금융포럼에서 ‘우리나라 ESG 금융의 현황과 과제: 기후금융 중심으로’를 주제로 한 토론에 발표자로 나선 박동규 한양대 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우리나라 ESG 금융의 과제를 이같이 진단했다.

ESG 채권은 2018년 5월 KDB산업은행에서 처음 발행한 후 3년 만인 2020년 12월 기준 상장 잔액이 무려 82조6000억원에 달할 만큼 빠르게 성장했다. 하지만 전체 채권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7%로 여전히 선진국보다 낮고, 발행기관은 주택금융공사, 한국장학재단, 예금보험공사가 2020년 채권 총발행액의 94%를 차지할 정도로 편중돼 있다. ESG 중 녹색 채권 비중은 3.7%로 미미하고, ESG 채권 발행 목표나 목적을 보면 신규 사업보다 기존 사업에 치중하고 있어 발행규모에 비해 실질적인 효과도 크지 않다. 따라서 “ESG 채권 관련 가이드라인과 인증기관 선정기준 등을 정립할 필요가 있고, ESG 채권 발행기업에 대한 유인책이 필요하다”는 게 박 교수의 지적이다.

국내 설정 ESG 펀드도 최근 3년간 연평균 47% 이상의 가파른 성장률을 보이고 있지만, 주식형 공모펀드의 1% 수준으로 아직 시장 규모는 미미하다. 국내 ESG 펀드들의 ESG 수준은 평균적으로 일반 펀드와 유사해 ‘무늬만 ESG’인 경우도 많다. 박 교수는 “현재 국내에서 ESG 펀드로 분류되는 펀드들은 구체적으로 어떤 기준과 프로세스에 따라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지, 편입 종목의 ESG 성과가 어떤지 등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공개하고 있지 않다”며 “ESG 펀드에 대해 투자자들이 ESG 성과를 객관적으로 가늠할 수 있는 표준화된 평가 및 공시체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의 좌장은 문철우 성균관대 글로벌경영학과 교수가 맡았고, 이병희 한양대 경영학부 교수와 김형미 상지대 사회적경제학과 교수가 토론자로 참여했다.

세계일보

26일 서울 용산구 드래곤시티 그랜드볼룸 백두홀에서 세계일보와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가 ‘금융의 ESG 대전환 및 정립방안’을 주제로 주최한 2021 세계금융포럼에서 세션1 이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좌장 문철우 성균관대글로벌경영학과 교수, 박동규,이병희 한양대경영대학 교수, 김형미 상지대 사회경제학과 부교수. 남제현 선임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교수는 “중소기업들은 자금조달 부담 등 ESG에 대해 비용 증가 혹은 위험으로 인식하는 분위기”라며 “제도나 규정에 대해 논의할 때 중소기업 특히 영세 중소기업에 대한 요소가 반드시 포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후 환경 문제는 정치나 이념과는 분리돼야 한다”며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세계적 문제로 부각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관련 금융을 연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전남의 풍력발전사업과 같은) 일부 기후금융 성공사례도 있지만 지금 현재 비수도권 농촌지역에서는 태양광 발전을 둘러싸고 큰 갈등이 일어나는 사례도 많다”며 “외부에서 개발자가 와서 개발하고 빠지는 방식이 많았기 때문에 주민 참여를 할 수 있는 금융 방식의 개발을 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 과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기후위기 관련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들이 꽤 있는데, ESG 금융이 선도적으로 ‘돈을 댈 테니 기술 있는 기업은 달라붙어라’ 하는 식으로 참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상규·장한서 기자 skwoo@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