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2 (수)

‘IPO 마지막 대어’ 카카오페이, 공모 흥행… 주가 날아오를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카카오페이, 11월 3일 코스피 상장

일반청약 180만건 넘어… 흥행 성공

국내 대표 핀테크 기업… 잠재력 높아

‘카카오 시너지’도 긍정적… 규제 리스크는 불안요소

세계일보

카카오페이 공모주 청약일인 지난 25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국투자증권 여의도본점 영업장에 설치된 카카오페이 청약 입간판 너머로 고객들이 상담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기업공개(IPO) 마지막 대어인 카카오페이가 얼어붙은 공모주 시장에서 흥행에 성공하면서 코스피 상장 후에도 좋은 흐름을 이어갈지 관심이 쏠린다. 증권가는 국내 대표 핀테크 기업의 잠재력을 높이 사면서도 금융 플랫폼의 규제 리스크를 불안요소로 꼽는다.

27일 카카오페이 IPO 대표주관사 삼성증권에 따르면 전날까지 이틀간 공모주 일반청약을 진행한 결과 삼성증권과 대신증권, 한국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에 모인 청약 증거금은 5조6609억원이다. 청약계좌 건수는 182만4364건, 청약 경쟁률은 29.60대 1을 기록했다. 청약자가 받는 물량은 평균 2.33주로 증권사별로 1∼4주를 받게 된다.

카카오페이의 청약 증거금은 올해 주요 공모주였던 SK아이이테크놀로지(80조9000억원), SK바이오사이언스(63조6000억원), 카카오뱅크(58조3000억원), 현대중공업(55조9000억원) 등과 비교하면 10분의 1 수준이다. 이는 최소단위 주로 청약한 투자자가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카카오페이는 국내 IPO 사상 처음으로 일반 청약자 몫의 공모주 물량을 100% 균등 배정했다. 증거금이 많을수록 유리하던 기존 비례 방식과 달리 카카오페이 청약에선 최소단위인 20주(증거금 90만원)만 청약하면 모두가 같은 수량의 주식을 받을 수 있다. 청약 증거금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청약 건수를 보면 카카오뱅크(186만건)와 현대중공업(171만건)보다 더 많다. 카카오페이가 흥행에 성공했다고 평가받는 이유다.

카카오페이는 다음 달 3일 코스피에 상장한다. 지난 20일~21일 진행된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 결과 최종 공모가는 밴드 상단인 9만원으로 확정됐다.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은 11조7330억원이다. 이는 코스피 시총 36위(우선주 제외)에 해당한다.

세계일보

류영준 카카오페이 대표가 지난 25일 온라인 IPO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카카오페이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상장 후 주가 전망은 엇갈린다. 메리츠증권은 국내 대표 핀테크 기업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해 적정주가 11만원을 제시했다. 반면 KTB투자증권은 금융 플랫폼의 규제 리스크를 고려해 적정주가를 5만7000원으로 산정했다.

전문가들은 카카오페이를 두고 금융 플랫폼으로서의 성장 가능성과 ‘카카오 시너지’를 주목해야 한다고 봤다. 최관순 SK증권 연구원은 “카카오페이는 금융업이 아닌 성장률 높은 플랫폼 사업자로 이해해야 한다”며 “코로나19 이후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간편결제 부문은 오프라인 인프라 확대, 후불결제 등을 통해 높은 성장세가 이어질 전망이며 내년부터 시작될 디지털보험업에서도 의미 있는 성과가 예상된다”고 평가했다.

또 그는 ‘카카오 시너지’를 말하며 “카카오 계열사와의 전략적 협업으로 카카오페이 이용자 확보에 필요한 비용절감이 가능하고, 데이터 공유를 통해 소비자 효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신규 금융상품 개발에도 용이하다”고 설명했다.

김동희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지급결제부터 신용대출, 자산관리, 보험 등의 금융 포트폴리오 구축한 사업자는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 정도”라며 “카카오페이는 3660만명의 가입자와 높은 이용자 충성도·ARPPU(평균결제금액), 카카오톡 플랫폼에 근거한 네트워크 효과 및 빅데이터 경쟁력을 갖췄다”고 밝혔다.

세계일보

카카오페이 공모주 일반 투자자 대상 청약 마지막 날인 지난 26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투자증권 본사 영업점에서 내방객들이 청약 상담을 받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에선 온라인 플랫폼 규제 리스크가 향후 더 커져 카카오페이 앞길에 먹구름이 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김진구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플랫폼 규제가) 현재까지는 업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크게 주지는 않는다”면서도 현재가 아닌 방향성을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처럼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보호하는 포괄적 규제로 진입할 가능성이 있다”며 “최근 국정감사에서 부각된 모빌리티와 웹툰·웹소설을 중심으로 공급자에 대한 적정 테이크 레이트(거래수수료)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는 것도 일맥상통한다”고 했다.

이어 그는 “테크핀에 대한 정부의 스탠스가 과거 육성 정책에서 최근 규제를 기점으로 기존 금융기관과의 형평성 등 동일 기능 동일 규제 원칙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선회할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정한 기자 ha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