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2021년 경기도민 행복지수 69점…최대 고민은 '코로나19 스트레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기도, 도민 1000명 대상 행복도 조사 결과 발표

‘가족관계’ 행복 수준 가장 높고, ‘워라밸’, ‘휴식 여가’ 꾸준히 올라

아시아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수원/아시아투데이 김주홍 기자 = 올해 경기도민의 행복지수는 100점 만점에 69점이며 가장 큰 고민거리는 ‘코로나19 스트레스’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는 지난 7월 만 18세 이상 경기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스스로 느끼는 행복 수준을 측정한 결과, 평균 69점(가장 불행 0점, 가장 행복 100점)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행복지수는 육체적 건강, 가족 관계 등 12개 항목 점수의 평균치인 ‘차원종합 행복지수’와 종합적인 행복 수준을 물은 ‘전반적 행복지수’ 간 평균점수다. 연도별 행복지수는 2015년 67점, 2017년 68점, 2019년 67점, 2020년 69점이다. 행복지수 조사는 2년 주기이나 2020년 초 코로나19가 발생하면서 2020년 특별조사를 실시했다.

2021 경기도민 행복지수를 12개 항목별로 보면 가족관계(76점) 행복 수준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 △정신적 건강(71점) △친구 이웃관계(71점) △주거환경(71점) △육체적 건강(70점) 등이 뒤따랐다. 안전(58점)과 업무?학업(62점)은 비교적 낮았다.

항목별 행복지수 추이에서는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생활로 ‘휴식 여가’(2015년 61점 → 2021년 64점)와 ‘일과 가정생활 조화’(2019년 66점 → 2021년 69점)가 상향된 반면, ‘안전’은 2020년 63점에서 2021년 58점으로 대폭 하향됐다.

응답자의 행복지수는 20대(72점)와 40대(70점)에서 높았다. 반면 60대는 63점으로 가장 낮았다. 70세 이상은 2019년 60점에서 2021년 67점으로 오름세를 보였다.

월 가구소득별로는 100만 원 미만 54점, 800만 원 이상 75점 등 소득이 증가할수록 행복지수도 높았다. 다만 700만 원 이상 고소득 가구의 연도별 행복지수가 큰 변동이 없던 반면 100만 원 미만(2019년 48점, 2020년 57점, 2021년 54점), 100만 원대(2019년 58점, 2020년 63점, 2021년 62점) 등 저소득층은 행복지수가 2년 전에 비해 올라갔다.

직업별로는 학생(73점)과 화이트칼라 종사자(72점)의 행복지수가 평균을 웃돈 반면, 무직자(64점)와 자영업 종사자(65점)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사회적 거리두기 지속 상황 속에서 1인 가구 행복지수는 2019년 59점에서 64점으로, 미혼자의 행복지수는 2019년 66점에서 2021년 70점으로 2년 전 대비 상승했다.

도움이 필요할 경우 부탁할 수 있는 친구 이웃이 ‘있다’고 답한 도민들의 행복지수는 73점인 반면, ‘없다’고 답한 경우 행복지수는 60점에 불과했다. 공동체적인 상황은 행복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함께 우리사회를 ‘신뢰할 수 있다’고 답한 계층의 행복지수(74점)가 ‘신뢰할 수 없다’는 계층(63점)에 비해 높았다. 우리사회에 대해 ‘공정하다’는 계층(76점)의 행복지수 역시 ‘그렇지 않다’는 계층(65점)에 비해 높았다.

현재 경기도민들의 가장 큰 고민거리는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28%)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상황 인식에 따른 행복지수는 ‘심각하다’는 계층은 68점, ‘심각하지 않다’는 72점이었다.

다른 고민거리는 △본인 가족 건강 문제(13%) △경제적 어려움(12%) △부동산 및 주거 문제(11%) △본인학업 진로 취업 문제(10%) 등의 순으로 지목됐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