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이슈 로마 G20 정상회의

G20 정상 “기온상승 1.5도 이내 억제 필요성 인정” 선언문 채택 [인더머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5년 파리기후협약 실천 의지 재확인

탄소 중립 시점 명확하게 설정 실패…세부사항 합의 못 봐

“진전 이루지 못해”·“이제 시작”…평가 엇갈려

헤럴드경제

주요 20개국(G20) 정상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G20 회의장에 마련된 원형 테이블에 착석해 회의를 하고 있다. 정상은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 폭을 1.5도 이내로 억제하고자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로이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유혜정 기자] 주요 20개국(G20) 정상이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이내로 억제하고자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G20 정상은 지난달 30일~31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로마에서 정상회의를 한 뒤 이런 내용의 공동선언문(코뮤니케)을 발표했다.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의 실천 의지를 재확인한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이런 목표를 이행하기 위한 ‘탄소 중립’ 시점을 2050년으로 설정하는 데 실패하는 등 구체적인 실천 과제에서는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상은 선언문에서 지구 평균기온 상승 폭이 1.5도 이내일 때가 2.0도 이내일 때보다 기후변화 영향이 더 적다는 데 공감했다. 또한 1.5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모든 나라의 의미 있고 효과적인 조처와 헌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2015년 합의된 파리기후변화협약에는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 폭을 2도 이내로 유지하기로 하고 나아가 1.5도 이하로 제한하고자 함께 노력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번 공동선언문의 문구 자체는 파리협약과 유사하나 1.5도 목표를 한층 더 선명하게 부각함으로써 6년 전보다 많이 진일보했다는 평가도 있다.

하지만 세부 이행 방안에서는 ‘통 큰’ 합의를 보지 못했다.

우선 탄소 배출제로 혹은 탄소 중립 시점을 ‘2050년’으로 못 박지 못하고 “금세기 중반까지”라는 문구로 대체됐다.

의장국인 이탈리아를 비롯한 선진국들은 구체적인 목표 시점을 넣자고 주장했으나 최대 탄소 배출국인 중국과 인도, 러시아 등이 강하게 반대하면서 끝내 접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탄소 중립 달성 시점을 2060년으로 제시했고, 인도는 아예 이를 설정하지 않았다.

‘탈석탄’과 관련해서는 올해 말까지 각국이 해외에서 추진 중인 신규 석탄발전 프로젝트에 대한 금융 지원을 중단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

관심을 끈 석탄발전의 단계적 폐지도 “가능한 한 빨리” 이행한다는 문구만 적시됐다. 선진국은 2030년대 말까지 이를 달성하자는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며 개도국들을 설득했으나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

화석연료 보조금의 단계적 폐지 역시 중기적 목표를 갖고 이를 추진한다는 다소 모호한 문구가 선언문에 명시되는 데 그쳤다.

이밖에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돕고자 2025년까지 매년 1000억달러(약 117조 원)의 기금을 조성해 지원하기로 한 약속을 이행하겠다는 문구가 선언문에 포함됐다.

보건 부문에서는 올해 말까지 전 세계 모든 국가 인구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백신 접종률을 최소 40%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내년 중반까지 70%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기후변화와 관련한 이번 합의 사항을 두고 새로운 진전을 거의 이루지 못했다는 혹평과 함께 이제 출발선에 섰다는 희망 섞인 평가가 동시에 나온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자신의 트위터에 “그동안 가져온 희망들이 충족되지 못한 채로 로마를 떠난다”면서도 “최소한 그 희망이 꺾이진 않았다”고 강조했다.

올해 G20 의장국 정상으로 정상회의를 주재한 마리오 드라기 이탈리아 총리도 이번 회의 결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이것이 시작에 불과하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G20 정상은 대부분 이날 영국 글래스고에서 개막한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로 무대를 옮겨 구체적인 기후변화 대응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yoohj@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