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궁지 몰린 李, 시간벌기 나서”
윤호중 “野, 尹 개입된 부분 자신 있나”
“의지 표현” “수사 뒤 고민한다는 뜻”
‘장외 여론전’ 李측근들, 해석 엇갈려
李 애매한 해명 ‘말장난 리스크’ 우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왼쪽),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민의힘이 ‘조건부 특검론’을 밝힌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와 민주당을 향해 “즉각 특검을 수용하라”고 압박했다. 민주당은 “피할 생각은 없다”면서도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의 대장동 관련 부실수사 의혹 등도 모두 포함시킬 것을 예고해 향후 여야 협상은 가시밭길이 될 전망이다. 이 후보 측 관계자들도 조건부 특검론에 대해 서로 다른 해석을 내놓고 있어 당 안팎에선 ‘말장난 리스크’가 현실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는 1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후보가 아주 궁지에 몰렸다. 젊은 사람들 용어로 ‘가불기’(가드가 불가능한 기술)”라며 “특검을 즉각 수용하지 않으면 ‘특검 거부자가 범인’이라는 국민의 확신에 따라 선거에 질 것이고, 선거에 지면 엄정 수사를 받을 테니 애매한 입장으로 시간벌기에 나선 것”이라고 했다. 이 후보가 회피전략을 쓰고 있다는 주장이다.
이에 민주당 윤호중 원내대표는 정책조정회의를 마친 뒤 “피할 생각은 없다”고 밝혔다. 윤 원내대표는 “야당도 윤 후보가 대장동에 개입된 부분에서 그렇게 자신할 수 있는지 모르겠다. 민주당은 자신이 있다”며 “특검을 요구한다면 야당이 생각하는 범위만으로 특검을 하게 되진 않을 것”이라고 했다.
전날 이 후보는 특검 수용 조건으로 검찰 수사 결과와 함께 △윤 후보 검사 시절 부산저축은행 사건 부실수사 의혹 △곽상도 전 의원 아들 퇴직금 50억원, 박영수 전 특검 친척 연루 의혹 △대장동 민간사업자 과다 배당 결정 배경 등을 특검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이 후보 측 관계자들은 조건부 특검론을 설명하기 위해 장외 여론전에 총출동했지만 이 후보의 ‘진의’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렸다. 이재명계 좌장인 민주당 정성호 의원은 CBS 라디오에서 “조건부가 아니라 특검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며 “결국 특검을 하게 되지 않겠느냐”고 설명했다. 민주당 선대위 핵심인 상황실장을 맡은 고민정 의원은 이 후보가 사실상 특검을 수용했다면서도 “검찰 수사를 믿고 기다려주는 게 일단 첫 번째”라며 ‘선(先) 검찰 수사’를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민형배 의원.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반면 선대위 전략기획본부 부본부장인 민형배 의원은 YTN 라디오에서 ‘특검 가능성 문이 열렸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그렇게 보지 않는다”며 “(이 후보는) ‘지금 하는 수사부터 제대로 하세요. 그다음에 생각해 봅시다’라고 하는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측근들의 해석마저 엇갈리면서 “말장난하지 말라”는 야당의 공세는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일각에선 여야 모두 검찰 수사의 미흡함을 지적하며 이미 불신을 드러낸 마당에 검찰 수사 결과로 특검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이 후보의 주장은 설득력 없다는 지적이 있다. 여론 조사상 특검에 대한 국민적 요구가 높음에도 애매모호한 입장을 내놓아 오히려 역풍을 불렀다는 분석도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국회사진기자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당 안팎에선 이번 특검 논란과 함께 그간 이 후보의 애매한 해명과 입장 표명이 모여 ‘말장난 리스크’로 번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 후보는 앞서 ‘이천화재 중 떡볶이 먹방’ 논란이 커지며 세월호 참사에 빗댄 비판이 나오자 “박근혜는 세월호 현장을 파악하지도 않았고 보고도 회피했다”고 반박해 논란이 일었고, 결국 사과한 바 있다. 대장동 의혹의 ‘키맨’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이 구속되면서 책임론이 일었을 땐 “한전 직원이 부정행위를 하면 대통령이 사퇴하느냐”고 말해 부적절한 비유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이동수·김현우 기자 ds@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