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아프리카의 항변…"오미크론, 선진국 백신 사재기 탓 아니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요국 여행 금지 '빗장'…과학계 "상황 악화" 규탄

"오미크론 등장은 백신 격차에 따른 필연적 결과" 주장도

연합뉴스

오미크론 변이 출현(일러스트)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신유리 기자 = 새로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 오미크론 출현에 각국이 아프리카 남부 국가와 통행을 순식간에 끊자 아프리카에선 억울하다는 항변과 불만이 나오고 있다.

그간 부자 나라가 코로나19 백신을 '사재기'한 탓에 아프리카에서는 백신 부족에 허덕였고, 이렇게 방역망이 취약해진 틈을 타 오미크론 같은 새 변이가 아프리카에서 나왔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세계보건기구(WHO) 아프리카 지부는 28일(현지시간) 낸 성명에서 아프리카 국가를 상대로 한 여행 금지 조치를 강력히 규탄했다.

맛시디소 모에티 WHO 아프리카 지역사무국장은 "여행 제한으로 코로나19 확산을 약간 늦출 수도 있겠지만 삶과 생계에 부담을 준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제보건규약(IHR)에 따르면 규제가 적용된다면 불필요하게 침해하는 것이 아닌 과학에 기반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IHR은 196개국이 승인한 국제법으로 국제적으로 확산할 위험이 있는 질병이 발발했을 때 관리·대응 체계에서 각국이 갖춰야 할 권리와 책임을 규정한다.

아프리카 과학자들 사이에서도 선진국의 대응이 적절하지 못하다는 비판이 나왔다.

선진국의 백신 사재기 탓에 아프리카에서는 접종률이 한 자릿수를 면치 못하는 실정에서 여행 금지 등으로 장벽을 높이면 오히려 상황이 더 악화한다는 게 이들의 지적이다.

연합뉴스

남아프리카공화국 백신 접종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앞서 등장한 델타 변이도 아프리카에서 속수무책이었다가 끝내 전세계로 순식간에 번졌다는 점에서 자칫 오미크론 대응에서도 이런 악몽이 되풀이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남아공 요하네스버그의 비트바테르스란트대 연구원인 프랑수아 벤터는 "그럴 줄 알았다"면서 그간 아프리카에서 백신 부족으로 변이가 등장할 것이란 우려를 과학계에서 꾸준히 제기해왔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부자 나라들은 누군가를 돕는 문제에선 그동안 깨달은 게 하나도 없는 게 분명하다"고 꼬집었다.

이런 인식에 서방 과학계도 공감한다.

영국 사우샘프턴대 연구원인 마이클 헤드는 28일 CNN 방송에 오미크론 등장이 "전세계 백신 접종이 심하게 지체되는 데 따른 필연적 결과"라고 지적했다.

그는 "오미크론은 아마도 다른 나라에서 등장한 뒤 유전자 시퀀싱 기술이 갖춰진 남아공에서 확인됐을 것"이라며 "백신 접종률이 낮고, 대규모 유전자 검사가 불가능한 사하라 남부 어딘가에서 나왔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어 "여전히 사하라 남부에 걸쳐 백신 미접종자가 수많고 이들은 대규모 확산에 휩쓸리기 쉽다"고 우려했다.

오미크론은 지난달 보츠와나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이달 들어 남아공에서 확산하면서 세계 각국에서 속속 감염자가 보고되고 있다.

현재까지 오미크론 확진이 확인된 국가는 영국, 독일, 이탈리아, 체코, 오스트리아, 벨기에, 호주, 이스라엘, 홍콩, 네덜란드, 덴마크에 이번 캐나다, 프랑스까지 총 15개국이다.

newglass@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