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계대출 증가율 비교
국민·하나↓, 신한·우리↑
제한조치 강도 차
국민·하나 제한 조치 '완화'
농협銀, 오늘 일부 대출 재개
신한·우리, '신규 전세대출' 증가
[헤럴드경제=이승환 기자] 주요 시중은행들이 연말 가계대출 증가율 관리에 온도 차를 보이고 있다. 그간 증가율이 높았던 은행들이 3분기 들어 가계대출 제한에 적극적으로 나서자, 상대적으로 증가율이 낮았던 은행들로 대출고객이 몰리면서다. 연말까지 가계대출 여유 분이 생긴 은행들은 제한 조치를 완화한 반면 최근 가계대출 증가율이 빠르게 높아진 은행들은 속도조절 필요성을 따져보는 분위기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기준 국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은행)의 총 가계대출 잔액은 708조3960억원으로 지난해 말(670조1539억원)보다 5.71% 증가했다. 은행별로 가계대출 증가율을 따져보면 농협은행이 7.1%로 가장 높다. 이어 신한은행(6.07%), 국민은행(5.44%), 우리은행(5.28%), 하나은행(4.72%) 순이다.
은행권은 금융당국이 제시한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6% 대)를 맞추기 위해 3분기 들어 은행별로 별도의 가계대출 제한 조치를 취해 왔다. 이에 10월 말까지 가계대출 증가율이 5.5%였던 국민은행은 현재 증가율이 0.06%p(포인트) 줄었고, 하나은행은 같은 기간 0.69%p 급감했다. 농협은행의 경우 0.03%p 증가하는데 그치며 증가율 속도를 조절하는데 어느정도 성과를 냈다.
반면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같은 기간 오히려 가계대출 증가율이 크게 늘었다. 신한은행은 10월 말 증가율 4.38%에서 11월 29일 기준 6.07%로 1.69%p, 우리은행은 4.63%에서 5.28%로 0.65%p 높아졌다.
최근 은행별 가계대출 증가율 속도에 차이가 난 배경으로는 은행별 제한조치의 강도 차이가 지목된다.
국민은행은 지난 9월 말 주택담보대출, 전세자금대출, 집단대출 한도를 축소했고, 하나은행의 경우 10월에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비대면 아파트담보대출을 한시적으로 중단했다. 앞서 농협은행은 지난 8월 말부터 신규 가계 부동산담보대출을 전면 중단한 상태였다.
신한은행은 10월 1일 대출모집인을 통한 전세대출 총 한도를 5000억원으로 제한했다가 같은 달 18일 한도 제한을 풀었다. 우리은행은 9월부터 영업점별로 월별 한도를 배정하는 선에서 가계대출 제한 조치를 취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별로 대출 제한 조치가 강도 차이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라며 “강하게 대출을 제한했던 은행에서 대출이 생각만큼 나오지 않은 고객들이 다른 은행을 찾는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다.
이에 최근 가계대출 증가율이 줄었거나 정체 중인 국민, 하나, 농협 은행은 대출 제한 조치를 완화하면서 연말 가계대출 영업에 다시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농협은행은 이날부터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한 주택담보대출을 재개한다. 국민은행은 지난달 23일부터 전세자금대출 방식 중 일시상환을 가능하게 변경하며 대출 제한을 일부 완화했다. 같은 날 하나은행도 모든 신용대출을 재개하고 이달부터 부동산 구입자금대출을 허용할 방침이다.
가계대출 증가율이 빠르게 증가한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의 경우 은행 공통적으로 취한 신용대출 한도 제한 등의 조치를 제외하고 가계대출과 관련한 별도의 조치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
그간 상대적으로 가계대출 증가율 관리가 잘 돼왔고, 최근 높아진 증가율의 경우 전세대출 영향이 크다는 판단이다. 금융당국은 10월 이후 취급된 신규 전세대출의 경우 가계대출 증가율 산출에서 제외키로 했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에서 10월 이후 신규로 취급된 신규 전세대출은 각각 2조5000억원, 1조9000억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nic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