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기술팀장인 마리아 판케르크호버 박사는 이날 화상 기자회견에서 “오미크론에 감염된 일부 환자는 가벼운 증상을 보이지만 중증 사례 보고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의 입원율 증가가 오미크론의 치명성을 입증한다고 보기에는 아직 이르다”며 “(입원율 급증이) 오미크론의 치명성 때문이 아닌,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일반적인 증가로 인한 것일 수도 있다”고 했다. 판케르크호버 박사는 오미크론이 델타 변이보다 전염성이 빠를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지만 “오미크론의 치명률에 대해 판단하기 이르다”며 유보적 입장을 보였다. 그는 “여전히 델타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우세 변이고, 국가들이 델타 변이를 막기 위해 이미 갖은 수단을 동원하면 오미크론의 확산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미국에서 첫 번째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가 나온 가운데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 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소장은 이날 백악관 브리핑에서 “앞으로 2주에서 2주 반 정도가 지나면 오미크론의 전파력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영국 의약품건강관리제품규제청(MHRA)은 영국 제약회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과 미국 제약사 비어 바이오테크놀로지(비어)가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치료제의 사용을 승인했다고 로이터통신이 2일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MHRA는 GSK-비어의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소트로비맙(VIR-7831)의 사용을 허가했으며, 이 치료제는 제부디(Xevudy)라는 이름으로 판매될 계획이다. 이와 별도로 GSK는 이날 성명을 통해 소트로비맙이 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인 오미크론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