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1 (화)

이슈 끊이지 않는 성범죄

미투 여파…공공부문 성희롱·성폭력 익명상담 3년새 4배로 ↑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올해 1∼11월 익명상담 3천645건…2018년의 3.7배

연합뉴스

미투(CG)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2018년 국내에서 '미투'(me too·나도 고발한다) 운동이 확산한 이후 공공부문 직장 내 성희롱·성폭력 관련 익명 상담 건수가 4배 수준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11월까지 '공공부문 직장 내 성희롱·성폭력 신고센터'의 익명 상담 건수는 3천645건으로 집계됐다.

연도별 익명 상담 건수는 2018년 953건, 2019년 1천18건, 지난해 2천817건으로 매년 증가세다.

익명 상담 건수에는 사건 신고 방법, 지원내용 등과 관련한 피해자 상담뿐 아니라 각 기관의 고충 상담원이 사건 처리 절차를 문의한 내용도 포함돼있다고 여가부는 설명했다.

피해자를 위한 의료·법률 등 지원 서비스 연계 건수도 2018년 624건에서 2019년 642건, 지난해 1천547건으로 급증했다. 올해 들어 11월까지는 1천692건을 기록했다.

다만 성희롱·성폭력과 관련해 실제로 신고한 건수는 감소세를 보였다.

공공부문 직장 내 성희롱·성폭력 신고 건수는 2018년 360건, 2019년 150건, 지난해 118건으로 감소했다. 올해 1∼11월은 119건으로 집계됐다.

신고 건수는 줄었지만, 익명 상담이나 피해자 지원 건수가 급증한 것은 미투 문화 확산으로 성희롱·성폭력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의식이 높아진 영향으로도 풀이된다.

여가부 관계자는 "공공부문 신고센터가 처음 문을 연 2018년에는 과거 발생한 사건들이나 동일 사건에 대한 중복 신고가 많았다"며 "성희롱·성폭력 관련 법 제도가 강화되면서 각 기관 내 신고가 활성화됐고, 분야별 신고센터가 추가 운영되면서 신고 건수는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다만 "여전히 2차 피해로 인한 두려움으로 소속 기관에 신고하지 못하는 피해자 등을 위해 공공부문 신고센터 운영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여가부는 지난해부터 성희롱·성폭력 근절 종합지원센터를 신설해 사건처리와 피해자 지원을 돕고 있다.

여가부는 종합지원센터 운영을 내실화하기 위해 사건 발생 기관이나 신청기관을 대상으로 성희롱 방지 대응 컨설팅을 시행하고, 신고센터에 사건이 접수된 기관을 대상으로 기관 재발 방지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추가로 연계 운영할 방침이다.

[표] 공공부문 직장 내 성희롱·성폭력 신고센터 운영실적 (단위 : 건)

구분신고사건익명상담
7478,433
2018년360953
2019년1501,018
2020년1182,817
2021년 11월 말1193,645

(자료 : 여성가족부 제공, 기간 : 18.3.8.∼21.11.30)

kihu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