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심 소통 통로 폐쇄적, 윤석열·최재형 인사 잘못해" 지적도
이들은 문 정부가 국정농단 탄핵으로 인수위 없이 출범했다는 점을 재차 강조하며 그간의 성과를 부각하는 한편, 부동산 정책과 인사 실패 등에 대해선 실책이자 향후 과제로 진단했다.
[윤건영TV 캡쳐. 재판매 및 DB 금지] |
민주당 의원들은 이날 오후 의원회관에서 '문재인 정부 5년 평가' 7차 토론회를 열었다.
특히 마지막 토론회인 이날은 문 정부 출범 후 선출된 4명의 원내대표인 윤호중 원내대표와 우상호 홍영표 김태년 의원이 한자리에 모여 그간의 성과와 과제를 짚었다.
축사를 맡은 윤 원내대표는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를 몇 달 남겨놓고 있는 지금 돌이켜봐도 대한민국은 5년 전과 비교해 비교할 수 없을 만큼의 커다란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왔다"고 자평했다.
이어 "대한민국은 경제력 외교력 군사력 그리고 문화력까지, 소프트파워와 하드파워를 막론하고 선진국 반열에 오르게 된 것 같다"며 "앞으로 달리는 말에 더 채찍질해서 대한민국을 더 열심히 끌고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정부 5년 연속 토론회에서 축사하는 윤호중 원내대표 |
발언권을 이어받은 세 명의 전 원내대표 역시 문재인 정부의 성과를 강조하며 좌담을 이어갔다.
김 의원은 "역대 어느 정부보다도 당·정·청이 원팀 정신에 근거해서 시스템을 통해 국정을 운영하려고 부단히 노력했고 실제 성과를 만들어냈다"고 평가했다.
그는 특히 문 대통령이 발표한 '한국판 뉴딜'을 극찬, "우연한 기회에 미국의 바이든노믹스, 즉 바이든 대통령의 공약을 볼 기회가 있었는데 '한국판 뉴딜을 베꼈나?'라는 생각을 할 정도로 아주 유사했다"고 말하기도 했다.
홍 의원도 "문 대통령은 인류가 경험해보지 못한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고, 전쟁 위기 상황까지 간 북미를 설득해 대화와 평화의 국면으로 바꾸어낸 큰 업적을 이뤘다"고 강조했다.
우 의원은 "전체적으로 문재인 정부는 성공한 정부라 평가해야 한다"며 "어려운 시기 딛고 구성된 정부가 전쟁 같은 남북관계를 평창올림픽 계기로 사라지게 한 것은 최대 치적"이라고 했다.
이들은 이 밖에도 일요일마다 열리던 고위 당·정·청을 통한 소통 강화, 검찰개혁 등 개혁 입법 실현 등을 성과로 꼽았다.
다만 반성해야 할 부분으로는 경제 및 부동산, 인사 부문을 거론했다.
특히 김 의원은 "부동산은 뼈아프고 국민으로부터도 질타를 받는 부분인데다 저는 직접적으로 책임 있는 사람 중 하나"라고 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에서 정책위의장과 원내대표를 지냈다.
김 의원은 "2·4대책을 발표하고 나서 왜 이런 정책을 정권 초에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에 정말 아쉬웠다"라며 "부동산에 대해서는 우리 사회가 한번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우 의원 역시 "부동산이나 서민 먹고사는 문제에는 큰 부담을 드린 것이 너무 죄송하고 한스럽다"고 고백했다.
그는 추가로 인사 문제를 지적, "적어도 최재형이나 윤석열 이런 사람에 대한 인사는 잘못한 것"이라고 단언하기도 했다.
또 "민심 전달 통로로 당이 중요한데, 야당 시절 민주당과 비교해 집권 여당 민주당의 민심 통로는 훨씬 폐쇄적이었다고 생각한다"고 자성했다.
다만 홍 의원은 "민주당에 대한 불안 중 상당 부분은 코로나 등 외부적 요인으로 보인다"며 "어려운 시기지만 우리 정당의 노선과 가치를 지켜내야 한다"고 강조, 다른 두 의원과는 다소 거리를 두는 모습을 보였다.
홍 의원은 이후 정치개혁과 개헌 논의의 필요성을 꺼내 들며 "양극화 문제 같은 것도 조세개혁 등을 통해 근본적 변화를 가져와야 하는데 지금의 정치 시스템으로는 힘들다. 이처럼 극단적으로 대결의 정치가 지속되는 상황에서는 집권당도 선택지가 부족하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이날을 끝으로 마무리된 '문재인 정부 5년 평가' 연속 토론회는 지난 10월 27일 '친문 복심' 윤건영 의원의 주도로 처음 시작했다. 당시 73명의 범친문 의원이 대거 이름을 올린 바 있다.
이들은 그동안 소득보장과 복지전달, 보건 의료, 문화예술, 노동 존중 등 4개 세션으로 나눠 매주 1회 토론회를 개최하며 문 정부의 성과를 알리는 데 주력해왔다.
kmk@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