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G7 정상회담

G7, 중·러 맞서 강력한 단합 강조…한·일도 마주칠 듯(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영국외무 "'자유의 국경' 수호 위해 안보·경제 태세 확대하자"

우크라 사태·이란 핵합의 등에 강경…베이징올림픽 논의 예상

연합뉴스

G7 외교장관
(리버풀[영국] 풀/AP=연합뉴스) G7 외교 수장들이 11일(현지시간) 영국 리버풀에서 열린 G7 외교·개발장관회의 중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2021.12.11 photo@yna.co.kr



(리버풀[영국]=연합뉴스) 최윤정 특파원 = 중국·러시아와 서구 국가 간 대립이 첨예해지는 가운데 주요 7개국(G7) 외교 수장들이 한국과 아세안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 주요 국가들까지 모아 결속을 다진다.

G7 의장국인 영국의 리즈 트러스 외무부 장관은 11일(현지시간) G7 외교·개발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자유와 민주주의 영역을 제한하려는 침략자들에게 함께 강력히 맞서야 한다"며 "강력하고 단합된 목소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과 트러스 장관은 전날 저녁 회담에서 우크라이나 사태에 관해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고 영국 외무부가 성명에서 밝혔다.

이들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다면 이는 전략적 실수이고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러스 장관은 앞서 방송 인터뷰에서 러시아에 경제적 피해를 줄 것이며, 이와 관련해 동맹국들에 러시아의 저렴한 가스에 의존도를 낮추자고 제안하겠다고 말했다.

러시아 자금이 런던 부동산이나 증권시장 투자하기 어렵게 한 데 따른 경제적 비용을 감수하냐는 질문에는 "생존과 자유·민주주의의 미래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고 그는 답했다.

미영 외교수장은 또 이란이 핵 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로 복귀하기 위한 협상에 진지하게 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G7 외교장관들은 인권 문제 등을 고리로 중국을 더욱 압박할 것으로 보인다.

영국에선 한 민간 연구단체가 1년에 걸친 조사 끝에 중국의 위구르족 정책은 제노사이드(인종청소식 소수집단 말살)에 해당한다는 결론을 9일 발표했다.

베이징 올림픽 외교 보이콧도 추가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10일 북한에 처음으로 신규 제재를 부과한 데 따른 G7의 후속 움직임도 주목된다.

이 밖에 미얀마, 에티오피아, 기후 변화, 서부 발칸 반도, 아프가니스탄 등의 의제도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G7 외교장관
(리버풀[영국] 로이터=연합뉴스) G7 외교장관들이 11일(현지시간) 외교·개발장관회의에서 기념사진을 찍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2021.12.11 photo@yna.co.kr


트러스 장관은 '자유의 국경' 수호를 위해 안보·경제 태세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개발도상국 기반시설 투자 등과 관련해 자유와 민주주의에 기반한 공통된 기준들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G7 정상들은 6월 콘월 회담에서 개도국 기반시설 격차 축소를 돕기 위해선 가치 중심적이고 협력적이며 시장 주도적으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합의했다.

트러스 장관은 글로벌 기반시설과 기술 프로젝트에 더 깨끗하고 신뢰할만한 금융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할 예정이다.

중국이 아프리카에 돈을 빌려주는 방식으로 영향력을 발휘하는 데 맞서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영국은 아시아, 아프리카, 카리브해 개도국의 기반시설과 기술에 투자하는 기구 '영국국제투자'(British International Investment)를 출범했다. 2025년까지 90억파운드(약 14조원)를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이는 1948년 설립된 정부 소유 개발 투자은행인 CDC의 이름을 바꾸고 규모와 범위를 확장한 것으로, 세계적으로 경제, 안보, 개발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라고 외무부는 밝혔다.

유럽연합(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도 1일 중국의 거대 경제권 구상인 일대일로(一帶一路: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전략에 대응해 2027년까지 세계 기반시설, 디지털, 기후 사업에 최대 3천억 유로(약 400조9천500억원)를 투자하는 '글로벌 게이트웨이'(Global Gateway) 전략을 밝혔다.

트러스 장관은 이번에 '아프리카 회복력 투자 액셀러레이터'(Africa Resilience Investment Accelerator)도 출범시킨다. G7 개발 금융기관들을 모아서 아프리카에 투자할 때 돕는 것이다.

이번 외교·개발장관회의는 5월 런던 회의에 이어 두 번째로 대면으로 열린다.

그 사이 영국의 수장이 트러스 장관으로 바뀌고 다음 G7 의장국인 독일의 안나레나 배어복 외교장관과 일본의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외무상 등 새로운 얼굴들이 등장했다.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국가들도 처음 초대됐다. 초청국 참가 행사는 12일에 개최된다.

정의용 외교장관과 하야시 외무상은 이날 리셉션과 만찬 등에서 처음 마주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일 양자간 정식 회담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교도통신은 "한일관계 악화를 이유로 정식 회담은 하지 않는 방향"이라고 10일 보도했다.

하야시 외무상은 취임 후 한 달이 지났지만, 아직 정 장관과 전화 통화도 하지 않은 상태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하야시 외무상은 11일 오후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 첫 대면 회담을 한다.

merciel@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