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주택산업硏 “내년 집값 2.5%, 전셋값 3.5% 오를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천·대구 등 공급과잉 지역 외 상승세 유지”

[이데일리 강신우 기자] 주택산업연구원이 내년 전국의 연간 주택 매매가격은 2.5%, 전셋값은 3.5%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데일리

(사진=연합뉴스)


14일 주산연은 ‘2022년 주택시장 전망’ 보고서를 내고 누적된 공급부족과 경기회복으로 집값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인천과 대구 등 일부 공급 과잉지역과 단기 급등지역은 집값 하락세가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전셋값 역시 임대차3법으로 인한 물량감소, 매매가격 급등 등의 영향으로 내년에도 오름세가 지속되겠지만 입주 물량이 많은 인천·경기와 지방 일부 광역시는 상승률이 둔화될 것으로 진단했다.

주산연은 “경제성장률, 금리 등 경제변수와 주택수급지수를 고려한 전망모형을 통해 내년 주택가격을 예측한 결과 이런 결과가 나왔다”며 “올해보다 상승률은 낮아지겠지만 누적된 공급부족과 경기회복으로 인천·대구 등 일부 공급과잉지역과 단기 급등지역을 제외하고는 하락세로 돌아서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산연은 현 정부의 부동산정책에 대해서는 주택수요, 공급 예측 방식이 잘못됐다며 비판했다.

주산연은 “그동안 정부는 인허가 물량을 공급물량으로 발표해왔으나 실제로는 시장 상황이나 규제 강도에 따라 인허가를 받은 뒤 분양이나 착공하지 않는 물량이 많아 인허가 물량을 공급물량으로 보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주산연은 “정부는 출범 초부터 인구감소론과 주택보급률 100% 도달을 근거로 ‘공급은 충분하니 투기꾼만 잡으면 집값은 안정된다’고 생각했지만 그동안 집이 필요한 가구수는 통계청 예측치를 빗나가며 크게 증가했고 주택시장에 진입하는 30세 인구도 줄어들지 않아 오히려 2022년부터는 70만명 이상으로 늘어나는 것으로 예측됐다”며 “앞으로도 공급확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주산연이 자체 분석한 현 정부 5년간(2017∼2021년) 누적 전국 매매수급지수는 87.1, 전월세는 96.6이며 특히 서울은 매매 69.6, 전월세 80.6에 그쳐 공급부족이 심각했다. 그 결과 현 정부가 5년간 전국의 주택수요 증가량 대비 공급 부족량이 전국은 38만호, 경기·인천은 9만호, 서울은 14만호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