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지난달 수도권 집값 상승률 1% 아래로...매수심리도 올해 최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1월 전국주택가격동향' 보니
수도권 상승률 0.76%...6개월 만에 최저
소비심리도 급락... 보합국면 눈앞
한국일보

14일 오후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한강변 아파트 단지.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주택가격 상승세가 급격하게 둔화됐고, 매수심리 또한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대출 규제 강화로 주택 거래가 줄면서 부동산 시장이 조정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아파트와 연립·단독주택을 합친 수도권 전체 주택 매매가격은 0.76% 상승했다. 10월(1.13%)과 비교하면 오름폭이 0.37%포인트 줄었다. 수도권 집값 월간 상승률이 1%를 밑돈 것은 지난 5월(0.86%) 이후 6개월 만이다. 서울(0.71→0.55%), 인천(1.50→0.94%), 경기(1.33→0.86%) 모두 상승폭이 축소됐다.

전국 집값 상승률도 10월 0.88%에서 지난달 0.63%로 0.25%포인트 감소했다. 지난해 11월 이후 1년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세종의 경우 집값이 한 달 만에 0.67% 떨어져 10월(-0.11%)과 비교해 하락폭이 커졌다. 대구(0.09→0.00%)는 보합 전환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금리 인상과 가계대출 관리 강화 영향 등으로 매수심리가 위축되며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분석했다.

한국일보

최근 전국 주택 매매가격 상승률. 그래픽=송정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세시장도 9월 이후 상승세가 주춤하고 있다. 지난달 전국 주택 전세가격 상승률은 0.46%로 10월(0.62%) 대비 오름폭이 줄었다. 서울(0.48%→0.39%)은 물론 수도권(0.75%→0.53%) 전체적으로 9월 이후 3개월 연속 상승세가 축소됐다. 세종 전세가격은 신규입주 물량의 영향으로 10월보다 0.05% 떨어지며 3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주택 매수심리도 올 들어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날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11월 부동산시장 소비자심리 조사'에 따르면 수도권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18.8로, 10월(130.3) 대비 11.5포인트 하락했다. 올 1월(144.4)과 비교하면 25포인트 이상 감소했다. 서울(128.7→118.8)을 비롯해 경기(130.3→119.5), 인천(134.9→115.6) 등 수도권 전역에서 소비심리가 위축됐다.

소비심리지수는 기준선인 100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가격 상승이나 거래 증가 응답이 많음을 의미한다. 보통 95 미만이면 '하강', 95 이상~115 미만은 '보합', 115 이상이면 '상승' 국면으로 분류한다.

수도권의 경우 이 지수가 모두 115 이상이라 지난달은 '상승 국면'이었지만 현재 추세로 볼 때 이달 조사에서 보합 국면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토지를 포함한 전체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지난달 전국(118.9→111.6)과 수도권(119.1→110.9) 모두 보합 국면으로 전환됐다.

이승엽 기자 syle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