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1 (토)

이슈 '오미크론' 변이 확산

NYT "오미크론, 화이자·모더나 아니면 못 막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mRAN 이외 백신 '별 효과 없다' 연구 결과 잇따라" 보도

"다른 백신도 중증화·사망 줄여…접종 않는건 심각한 실수"

뉴스1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강민경 기자 =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을 제외한 대부분의 백신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감염을 막는 데 별 효과가 없다는 연구 결과가 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9일(현지시간) 진단했다.

NYT는 mRNA 백신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오미크론 변이가 심각한 중증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감염 예방보다는 중증화 예방에 방점을 두고 백신 접종을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러 초기 연구결과에 따르면 화이자와 모더나 등 mRNA 백신을 3차 접종까지 마친 경우 오미크론 변이 감염을 막는 데 효과가 있었다. 반면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중국·러시아에서 제조한 백신 등 다른 방식으로 개발된 백신은 오미크론 변이 확산을 막는 데 거의 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일부 선진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들은 비(非) mRNA 백신들을 중심으로 예방접종 프로그램을 실시해왔는 점이다. 이 때문에 선진국과 중하위 소득 국가 간의 방역 격차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뉴스1

9일(현지시간) 볼리비아 라파스에 마련된 코로나19 백신 접종소에서 어린이가 중국산 시노팜 백신을 맞고 있다.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전 세계에 보급된 백신 가운데 거의 절반을 차지하는 중국의 시노팜과 시노백 백신은 오미크론 변이 감염으로부터 아무런 보호도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백신은 중국뿐 아니라 멕시코와 브라질 같은 중하위 소득 국가들에서 널리 사용된 바 있다.

영국에서 실시된 예비 연구 결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접종 후 6개월이 지난 뒤에는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예방 효과가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도에서는 백신 접종자의 90%가 '코비실드'라는 상표로 나온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았다.

연구진들은 아프리카와 중남미에서 사용되는 러시아의 스푸트니크V 백신 또한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보호율이 비슷하게 낮을 것으로 보고 있다.

얀센 백신의 경우 초기 1회 접종을 권장했기 때문에 아프리카의 개도국으로부터 인기가 높았다. 하지만 이 백신 또한 오미크론 변이에는 그다지 힘을 쓰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백신은 1차적으로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항체를 형성하고, T세포를 활성화한다. 이 T세포는 오미크론 변이를 인지하고 공격한다. 백신을 맞을 경우 오미크론에 감염이 되더라도 중증으로 발전하지 않을 수 있는 이유다.

하지만 지금까지 시행된 관련 실험들은 대부분 실험실에서 행해졌다는 한계가 있다. 신체의 면역 반응을 전체적으로 포착하지 못했을 수 있다. 변이가 실제 집단에 미치는 영향력을 추적한 결과가 아니기 때문이다.

세계백신면역연합(GAVI)의 세스 버클리 최고경영자(CEO)는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백신 효과를 검증하려면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며 "백신 접종 가속화가 팬데믹 대응의 초점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코로나19에 감염된 전력이 있는 사람들이 오미크론 변이에 다시 감염되는 경우가 다수 발견되고 있다. 이에 일부 공중보건 전문가들은 브라질이나 인도처럼 이미 심각한 대유행을 겪은 나라들이 오히려 오미크론 변이에 더 강할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여러 차례 대유행이 휩쓸고 지나간 만큼 대다수의 국민들이 코로나19에 감염된 전력이 있고, 이 사람들이 예방접종까지 하게 된다면 항체 수치가 더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인도의 역학자인 라마난 락스미나라얀은 NYT 인터뷰에서 "백신만 맞는 것보다는, 백신 접종과 바이러스에 대한 노출의 조합이 더 강한 면역력을 이끌어낸다"며 "인도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분명히 확산되겠지만 인도는 백신과 감염 확산 덕분에 오미크론에 대한 저항력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중국의 경우 오미크론에 대항할 보호막을 가지고 있지 않다. 엄격한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해 바이러스 노출이 적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발원지로 여겨지는 우한도 감염률이 7%에 불과했다.

중남미의 경우 상당수의 나라들이 중국과 러시아 백신, 그리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의존했다. 마리오 로셈블랏 칠레대 면역학 교수는 "칠레인의 90% 이상은 2차 접종을 완료했고 상당수는 시노백 백신을 맞았다"며 "백신 접종률이 높은 상황과 오미크론이 중증화가 잘 되지 않는다는 초기 보고로 인해 잘못된 안정감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뉴스1

화이자 백신(왼쪽)과 모더나 백신. © AFP=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화이자나 모더나처럼 mRNA가 아닌 다른 백신이 감염 예방에 효과가 거의 없다는 연구결과는 일부 국가에서 백신 기피를 더욱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스티븐 모리슨 국제전략연구소(CSIS) 세계보건정책국장은 "백신 자체의 가치가 도전받고 있다"며 "반(反)백신 정서가 강해지고 신뢰가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비 mRNA 백신에 의존해온 나라들이 처한 새로운 위협은 부자 나라들의 잘못이라는 비판도 제기됐다. 존슨홉킨스 블룸버그 공중보건대학원의 톨버트 응옌스와 선임연구원은 "부자 나라들은 중간 소득 및 저소득 국가들과 기술을 공유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응옌스와 연구원은 "그 결과 백신 접종률이 낮은 지역에선 위험한 변이가 계속 출현할 것이며, 대유행을 계속해서 연장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오미크론 변이 예방에 효과가 적다고 해서 각 나라들이 백신 접종을 등한시하거나 mRNA백신만을 고집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나왔다.

GAVI의 버클리 CEO는 "일부 나라가 '선진국에서 잘 쓰지 않는 백신은 우리도 쓰지 않겠다'고 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며 "하지만 그런 백신들도 중증화와 사망률을 낮추기 때문에 이는 잘못된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pasta@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