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최악의 위기 맞은 자영업

'방역패스 철회' 팻말 든 자영업자들…"적자 1억, 보상금은 고작 몇백만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오진영 기자, 홍재영 기자]
머니투데이

22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앞 열린시민마당에서 시위 인원인 300여명을 넘기자 시위 장소 진입을 막는 경찰과 자영업자들이 충돌하고 있다. / 사진 = 홍재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건 저희의 마지막 몸부림 입니다."

22일 오후 3시 서울 종로구 광화문 시민열린마당. 300여명의 자영업자들이 "방역패스 철회" "영업제한 중단"이라고 적힌 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쳤다.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상기된 얼굴로 정부의 방역정책과 자영업자 손실보상정책에 대한 비판을 쏟아냈다.

이날 광화문 광장에는 PC방, 헬스장, 식당, 공간대여업 등을 운영하는 소상공인·자영업자로 구성된 '전국자영업자비대위'와 '소상공인연합회' 회원들이 집결했다.

이들은 사회적 거리두기 재격상 조치에 반대하며 방역패스 철회와 영업시간 확대 등을 요구했다. 정부는 확산세를 막기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며 적정한 손실보상을 약속했으나 자영업자들은 실제 손실에 턱없이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머니투데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7456명 발생한 22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역광장에 마련된 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체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 있다. 2021.12.22/사진 =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세희 소상공인연합회 회장은 이날 시위에서 "지원을 받아도 부족한 자영업자·소상공인들이 방역패스 도입으로 과태료 부담이 는 것도 모자라 범법자가 양산되고 있다"라며 "수억원을 손해본 자영업자도 턱없이 부족한 100만원 미만의 손실보상금으로 버티라는 정부에 강경 대응할 것"이라고 했다.

부산에서부터 올라와 시위 현장을 찾은 한 자영업자는 "고깃집 하나 운영하면서 2년 동안 쌓인 적자가 1억원이 넘는데 고작 몇백만원 정도의 보상금을 쥐어주고 '방역에 협조하라'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말했다.

시위 도중 이성만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연단에 등장하자 욕설과 고성이 오갔다. 한 자영업자는 이 의원을 향해 큰 소리로 항의하며 달려가다 주최측에게 제지당하기도 했다.

이날 집회는 참석 인원이 방역당국이 정한 제한인원(299명)을 넘어서자 곳곳에서 경찰과 충돌이 빚어지기도 했다. 시위장 밖에 머무르던 한 자영업자는 "민주노총 집회 수만 명 몰리던 것은 방치하더니 힘없는 자영업자는 틀어막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자영업자들은 이날 시위를 시작으로 연쇄적인 방역 불복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코로나피해자영업총연합(코자총)은 오는 27~28일 이틀 간 오후 5~9시 정부에 항의하기 위해 불을 끄고 영업하는 '소등시위'를 진행할 계획이다. 일부 자영업자들은 손실보상금의 소급 적용을 요구하는 집단소송을 준비 중이다.

이같은 자영업자의 목소리에도 방역 전문가들은 최근의 확산세가 워낙 거세고 위중증 환자·오미크론 변이 감염자가 느는 등 상황이 엄중해 강화된 거리두기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오미크론 감염이 늘고 있고 의료진이 감염돼 병동이 폐쇄되는 등 위급한 시기인 만큼 확진자를 줄이는 것이 급선무"라며 "거리두기를 강화하고 부스터샷 접종을 확대해 중환자 양산을 막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진영 기자 jahiyoun23@mt.co.kr, 홍재영 기자 hjae0@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