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1 (토)

이슈 차기 대선 경쟁

“李·尹 박빙 구도로 갈수록 단일화 이슈 대두될 듯”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민주당, 이미 열린민주당과 합당 절차 돌입 / 국민의힘, 안철수와 연대 가능성 열어둬

세계일보

(왼쪽부터) 안철수, 윤석열, 이재명, 심상정 후보.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새해에는 정권재창출과 정권교체를 각각 내걸고 여야의 명운을 건 한판 승부가 펼쳐진다.

대선 승패에 따라 민주당 정권이 5년 더 연장될지, 보수정당이 탄핵 사태 이후 5년 만에 다시 수권할지가 결정된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여야는 진영 결속을 최대로 끌어올리면서 중도와 2030 청년층으로의 확장성을 키우는 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네거티브 공세의 향방, 후보 단일화, 코로나19 상황, 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 여파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대선 3개월 후 곧바로 지방선거가 있는 만큼 이번 승패가 다음 지방권력 지형까지 결정할 가능성이 크다. 더욱이 어느 쪽이 정권을 가져가느냐에 따라 정계 개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윤석열, 정의당 심상정,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간 4자 구도가 확정됐지만, 심상정 안철수 후보의 지지율이 한 자릿수에 머물며 이재명 윤석열 후보의 양강 구도가 공고해졌다.

그러나 역대급 비호감 대선이라는 평가가 함께 이·윤 후보의 지지율이 30% 박스권에 갇힌 형국이다.

대선이 다가오는데도 지지 후보를 결정하지 못한 부동층이 오히려 증가하는 이례적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정권교체 여론이 정권재창출 여론보다 높아 야권에 비교적 유리한 지형임에도 윤 후보가 뚜렷한 우위를 보이지 못하면서 승패를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

이 때문에 지지 후보 결정을 망설이는 중도층과 청년층의 표를 얼마나 흡수하느냐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여야는 네거티브 공방에 염증을 느끼는 이들을 겨냥, 민생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행보에도 공을 들이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

이 후보는 정부 실정론에 맞서 문재인 대통령과 차별화를 시도하고, 윤 후보는 현 정부 실정을 부각하며 정권교체 여론을 모아내는 데 주력할 전망이다.

민주당 김영진 선대위 총무본부장은 26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새해부터는 위기의 대한민국을 구해내는 것에 적합하고 능력 있는 대통령 후보가 누구인지를 부각하는 흐름으로 바뀔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금태섭 선대위 전략기획실장은 통화에서 "1월부터는 정책 행보를 본격적으로 할 것"이라며 "부동산, 청년 일자리 등 국민의 삶을 나아지게 할 정책들로 승부를 보겠다"고 밝혔다.

이, 윤 후보 모두 '사법 리스크'와 함께 본인과 가족을 둘러싼 '신상 리스크'를 안고 있는 만큼 네거티브 공방도 한층 가열될 전망이다.

민주당은 윤 후보 부인의 허위 이력 의혹을 비롯한 본부장(본인·부인·장모) 의혹을, 국민의힘은 이 후보의 대장동 사업 특혜 의혹을 정조준하고 있다.

다만 근거가 부족한 '묻지마 폭로' 식 네거티브 공세는 막판 역풍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야 모두 신중을 기하는 분위기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부인 이력 의혹은 윤석열 후보의 트레이드마크인 '공정과 상식'을 공격할 수 있는 이슈이고, 대장동 의혹은 이재명 후보의 '전과 4범' 전력을 부각하는 등 부정적인 이미지를 강화시키는 이슈"라고 말했다.

이 후보와 윤 후보가 박빙 구도로 갈수록 진영 대통합과 후보 단일화 이슈가 대두될 전망이다.

민주당은 이미 열린민주당과의 합당 절차에 돌입, 진영 결집에 시동을 걸었다.

다만 정의당과의 단일화 시나리오는 민주당 내에서 거론되는 분위기는 아니다. 오히려 새로운물결을 창당한 김동연 전 부총리를 영입하는 편이 더 도움이 되는 것 아니냐는 말이 당 안팎에서 나온다.

국민의힘은 국민의당 안 후보와의 연대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내부적으로는 안 후보에게 서울 종로 국회의원 보궐선거 출마로 '출구'를 마련해주는 방안도 아이디어로 제시된다.

박 전 대통령 특별사면이 보수 진영이 분열하는 소재로 작용할지와,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정부의 대응 및 여야의 코로나 공약 경쟁도 눈여겨볼 변수다.

대선 이후 일정 부분의 정계 개편이 불가피하다는 전망도 나온다.

경우별 시나리오를 보면 민주당이 정권재창출에 성공할 경우 친이재명계의 구심력이 강화되면서 친문재인계가 재편되는 등 민주당의 주류 교체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대선 승리가 6·1 지방선거 결과와 연동되며 민주당이 지방권력까지 장악할 가능성이 크다. 19대 대선 다음 해에 치러진 2018년 지방선거 때도 시·도지사 17곳 중 집권 여당인 민주당이 14곳을 싹쓸이하며 압승을 거뒀다.

민주당이 행정부와 의회권력에 이어 지방권력까지 다시 한번 장악하면서 내부적으로는 장기 집권의 기대감을 높이는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참패한 보수 진영은 '해체' 수준의 전면 개편을 해야 하는 상황에 부닥치게 된다.

반대로 국민의힘이 정권교체에 성공할 경우 의석 구조상 다음 총선까지 2년간 여소야대 상황이기 때문에 범보수 통합, 민주당과의 협력을 시도할 것으로 관측된다.

의회권력 열세 상황을 만회하기 위해선 지방선거 압승을 통해 지방권력을 우선적인 정치적 기반으로 삼을 가능성이 크다.

국민의힘에서는 "국민의힘이 이기면 민주당도 많이 변할 것"(윤 후보)이라며 대선 승리 시 정계개편 가능성을 염두에 두는 분위기다.

일각에서는 협치·탕평 내각, 나아가 권력구조 개편을 위한 개헌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배철호 리얼미터 수석전문위원은 "누가 이기든 압도적인 승리가 어려운 상황이어서 선거 후유증이 오래갈 것"이라며 "민주당이든, 국민의힘이든 협치에 대한 압박을 피해갈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