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방역당국 "오미크론 확산해도 거리두기 강화는 최대한 안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24일 서울 마포구 서강대역 광장에 마련된 임시선별검사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강진형 기자aymsdrea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대현 기자] 오미크론 코로나19 변이가 국내 검출률 50%를 넘기며 우세종화가 된 가운데 당국이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인한 확진자가 크게 늘어도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조치는 최대한 지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24일 오전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백브리핑에서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하루 1만~2만명 수준의 확진자가 발생하면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조치를 도입해야 할지' 묻는 질문에 "사회·경제적 피해가 큰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조치는 최대한 안 하는 거로 운영한다는 게 현재까지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델타 때보다 의료 여력 클 것"
손 반장은 "현재 의료체계 여력이 변수에 따라 다르지만 (델타 변이와 비교해) 최대한 늘어날 것"이라며 "델타를 기준으로 보면 지난 12월보다 의료체계 여력을 확충했고, 대략 한 4600병상 정도의 중환자 대응 가능 병상들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생활치료센터도 2만 병상, 재택치료도 3만~4만명까지 가능한 체계다. 델타 기준 하루 확진자 1만3000명도까지 감당 가능한 상태로 보는데, 델타보다 (오미크론의) 위중증률과 입원률이 더 떨어지는 걸로 보여 여력은 더 커 보인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해외 여러 자료에 따르면 오미크론 변이는 델타보다 중증으로 가는 비율이 3분의 1, 4분의 1로 나와서 감당 가능한 확진자 수가 달라질 것"이라며 "델타 대비 훨씬 많은 확진자를 의료체계가 감당할 수 있다. 중증 가능성이 있는 환자들을 빨리 찾아 치료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지난 22일 0시 기준 지난주(지난 16~22일) 전국 오미크론 감염 환자는 4574명(국내감염 2895명, 해외유입 1935명) 늘어나 누적 9860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직전주(지난 9∼15일) 확인된 2679명보다 신규 감염자가 1895명 많다. 국내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은 50%를 돌파해 우세종이 된 것으로 확인됐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국 오미크론 대응체계 전환 시기, 적절한 타이밍 검토 중"
전국 오미크론 대응체계 전환 시기와 관련 손 반장은 "한시라도 빨리 대응체계로 가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적절한 타이밍이 중요할 것"이라며 "당초 우려보단 오미크론 확산세와 비교해 중증환자 증가 속도가 늦고, 진단 여력 등도 큰 편"이라고 설명했다. 하루 80만건까지 가능한 유전자증폭(PCR) 검사는 현재 50만건 정도로 검사가 이뤄져 30만건 정도 여력이 있고, 위중증 환자수도 400명대까지 내려간 만큼 전국적인 상황을 더 검토해 보겠다는 취지다.

손 반장은 "대응체계 전환의 핵심은 고령층이나 위험성 높은 환자들의 조기진단이나 치료에 집중하려는 것"이라며 "젊은 층이나 위험도 낮은 국민들의 진단 및 치료는 지금보다 느슨해지는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이유를 밝혔다.

다만 방역당국은 오미크론 우세종화가 확인된 광주, 전남, 경기 평택·안성시의 검사 및 치료체계를 오는 26일부터 오미크론 대응체계로 우선 전환한다.

대응단계에서는 기존의 검사 방식인 선별진료소 내 PCR 검사는 고위험군(우선검사필요군)에 한해 적용된다. 이들 지역에 설치된 선별진료소에선 ▲60세 이상 고령층 ▲역학적 연관자 ▲코로나19 검사가 필요하다는 의사 소견서 보유자 ▲자가검사키트 또는 신속항원검사 양성자만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역학조사도 기존의 전수조사 방침에서 가족 등 고위험군(우선검사필요군) 조사로 바뀌고, 예방접종을 완료한 확진자는 격리기간이 7일로 단축된다.

김대현 기자 kd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