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5 (일)

'北 무력도발' 대응 고심하는 文…한·중 정상회담도 사실상 무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진전을 위한 문재인 대통령의 고심이 깊어졌다. 북한이 올해 초부터 네 차례에 걸친 군사 행동과 함께 핵실험 및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발사 '모라토리엄'(유예) 해제를 시사하면서다.

최근 아중동 3개국(아랍에리미트·사우디아라비아·이집트) 순방 기간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지지를 당부해왔다. 한반도 종전선언 당사자인 미국, 중국, 북한뿐 아니라 다른 나라 지지도 받아 평화 구상에 대한 당위성을 확보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모하메드 알 막툼 아랍에미리트(UAE) 부통령 겸 총리와 회담에서 문 대통령은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를 위한 대화가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모하메드 빈 살만 빈 압둘 아지즈 알- 사우디 왕세자와 회담에서도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에 대한 한국 정부 노력을 최대한 지원하겠다'는 메시지를 끌어냈다.

문 대통령은 압델 파타 알시시 이집트 대통령과 정상회담 후 공동 언론발표를 통해 "(이집트 대통령은) 중동 평화와 안정에 기여한 중재 경험을 바탕으로 북한의 조속한 대화 복귀 필요성에 공감하고,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실질적 진전을 위한 나와 우리 정부의 입장을 지지해 주셨다"는 메시지도 전했다.

정부도 미국·중국 등과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진전 차원의 종전선언 지지를 끌어내기 위해 노력했다. 이 과정에서 미국과 사실상 종전선언 문안 협상은 마무리했고, 중국으로부터 공개적인 지지 입장도 끌어냈다.

하지만 북미 간 대치 국면이 심화하면서 문 대통령 중재에도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재가동은 어려울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중국 또한 종전선언 지지와 별개로 북한의 연이은 군사 행동을 포함한 무력도발에 사실상 침묵하고 있다.

이에 문 대통령이 직접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화상 형태의 정상회담을 갖고 북한 무력도발 관련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할지도 관심사다. 특히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문 대통령 생일인 24일 축하 서한을 보내면서 한·중 정상회담 가능성도 나온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서면 브리핑을 통해 시진핑 주석의 문 대통령 생일 축하 서한 발송 사실에 대해 전했다. 브리핑에 따르면 시 주석이 보낸 서한에는 문 대통령 생일을 축하하는 따뜻한 메시지가 담긴 것으로 전해진다. 문 대통령은 시 주석 서한에 '감사하다'는 답신을 보냈다.

양 정상은 수교 30주년인 올해, 양국 간 협력 방안에 대한 메시지도 주고받았다. 박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양 정상은 올해로 수교 30주년을 맞이해 양국이 그간의 관계 발전 성과를 토대로 제 분야에서 교류와 실질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한층 더 발전 시켜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고 전했다.

다만 문 대통령 생일을 맞아 시 주석과 주고받은 서한에는 '정상회담' 관련 언급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청와대 또한 화상 정상회담 개최 여부 자체와 관련 정해진 게 없다는 입장이다. 정가에서 1월 마지막 주 개최로 관측된 한·중 화상 정상회담도 사실상 무산 분위기인 셈이다.

한편 문 대통령은 임기 마지막까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진전을 위한 노력은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연이은 무력도발에도 '북한과 대화' 필요성을 청와대와 정부가 강조해오면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