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인공위성과 우주탐사

[우주를 보다] NASA 태양탐사선, 가시광으로 첫 금성 표면 촬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NASA 파커솔라프로브가 촬영한 금성(사진 왼쪽)과 과거 마젤란호가 촬영한 금성의 같은 지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 항공우주국(NASA)의 태양탐사선 ‘파커 솔라 프로브’(Parker Solar Probe·이하 PSP)가 사상 처음으로 우주에서 가시광으로 금성 표면의 야간 모습을 촬영하는데 성공했다. 지난 9일(현지시간) 미 존스홉킨스대학 응용물리학연구소 등 공동연구팀은 PSP의 광시야 카메라(WISPR)를 사용해 금성 표면의 밤을 포착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우리의 이웃 행성인 금성은 이산화탄소가 대부분인 두꺼운 대기와 뿌연 구름에 가려있어 정교한 레이더 및 적외선을 통해서만 그 속을 들여다 볼 수 있었다. WISPR로 포착한 영상과 이미지를 보면 금성 표면의 대륙, 평야, 고원 등이 흐리게 드러나고 희미한 빛도 보인다. 다만 이미지가 우리가 상상하는 아름다운 행성 표면의 모습이 아닌 것은 WISPR가 태양이 뿜어내는 태양풍, 곧 하전된 입자의 흐름과 코로나 질량방출을 가시광선 이미지로 잡아낼 수 있도록 설계된 장비이기 때문이다.
서울신문

지난해 2월 파커솔라프로브가 금성을 근접비행하며 촬영한 화성의 표면. 사진=NASA/APL/NRL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NASA에 따르면 PSP는 지난 2020년 7월과 지난해 2월 금성을 근접비행(플라이바이)하며 WISPR의 이미지를 얻었다. 논문의 선임저자 브라이언 우드 미 해군연구소 연구원은 "금성은 너무 뜨거워 암석 표면이 마치 대장간에서 뽑아낸 쇳조각처럼 눈에 띄게 빛난다"면서 "WISPR은 표면에서 발산하는 엄청난 열로 인해 이 희미한 빛을 포착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같은 관측은 금성 지표면의 지질학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PSP는 태양 코로나와 태양풍에 얽힌 수수께끼들을 풀기위해 지난 2018년 8월 12일 발사됐다. 특히 지난해 12월 PSP는 인류의 피조물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사상 처음으로 태양을 ‘터치’하는 역사적인 기록을 세웠다. 태양을 터치했다는 것은 태양 대기의 상층부, 곧 코로나 속을 비행하는데 성공했다는 의미다.
서울신문

파커 솔라 프로브의 가상 그래픽. 사진=NASA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오는 2024년 PSP는 최고 시속 69만㎞로 태양에 620만㎞까지 접근할 예정인데 이처럼 PSP가 엄청난 속도를 내며 태양 궤도를 선회하는 이유는 태양의 가공할 중력을 버티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 금성은 절대적인 도움을 준다. 바로 중력도움으로 불리는 플라이바이(fly-by)인데 행성궤도를 근접통과하면서 행성의 중력을 훔쳐 가속을 얻는 방법이다. PSP는 총 7차례 금성의 중력 도움을 받으면서 태양 궤도를 차츰 좁혀나갈 계획인데 이번에 연구팀이 공개한 이미지는 바로 이 과정에서 얻어진 것이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