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종합부동산세 폭탄 논란

작년 양도세·종부세 43조 걷혔다…증권거래세 10조 돌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총세입·총세출 마감…국세수입 58.5조 늘어난 344조

집값 상승+세율 인상에 종부세 70% 급증, 증여세도↑

법인세·부가세 20조 넘게 늘어…근로소득세 6조 증가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지난해 사상 최대 규모 세수 풍년의 원인은 경제 회복에 따른 관련 세수 증가와 자산시장 호조가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특히 종합부동산세율 인상 등 정부의 부동산 세제 강화와 주택가격 상승으로 양도소득세와 종부세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 투자 열풍이 일면서 증권거래세는 10조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이데일리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11일 발표한 총세입·총세출 마감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세 수입은 344조1000억원으로 전년대비 58조5000억원 증가했다. 본예산과 비교하면 61조4000억원, 추가경정예산(추경)보다는 29조8000억원 늘어난 수준이다.

주요 세목별로 보면 종부세가 6조1302억원으로 전년대비 70.3%(2조5296억원) 급증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지난해부터 종부세율이 최고 6%로 오른데다 주택가격 상승 및 공시가격 현실화율 상향 등으로 과세 표준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소득세는 114조1123억원으로 1년새 22.6(21조36억원) 증가했다. 이중 부동산 비중이 높은 양도세는 55.2%(13조514억원)나 늘어난 36조7702억원이 걷혔다.

상속증여세는 15조62억원으로 같은기간 44.6%(4조6309억원) 증가했다. 부동산 보유세율이 높아지면서 아파트 등을 증여하는 수요가 늘었고 고(故) 이건희 전 삼성그룹 회장 사망으로 상속세가 2조원 가량 걷힌 영향도 있다.

부동산 세수 증가가 정부 세수 추계 오차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다. 고광효 기획재정부 조세총괄국장은 “부동산 시장 전망 불확실성이 커서 지표 전망 오차가 많았다”며 “양도세 세수 모형에도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선 세수 모형이 정확하게 추정하는데 어느 정도 한계가 있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진단했다.

주식 투자자들이 크게 늘면서 증권거래세는 최대 규모인 10조255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17.1%(1조4969억원) 늘어난 수준이다. 증권거래세에 반영되는 농어촌특별세도 8조9000억원으로42.2%(2조6404억원) 급증했다.

코로나19 국면에서 경제 회복세도 세수 증대에 보탬이 됐다.

글로벌 경기와 반도체 업황 개선에 힘입어 법인세는 전년대비 26.8%(14조8831억원) 증가한 70조3963억원을 거둬들였다. 민간소비와 수입이 전년대비 각각 3.6%, 31.5% 증가하면서 여기에 붙는 부가세도 71조2046억원으로 9.7%(6조3217억원) 늘었다.

명목 임금 상승과 취업자 증가에 근로소득세는 47조2312억원으로 15.5%(6조3261억원) 늘었다. 다만 종합소득세는 15조9902억원으로 0.5%(828억원) 감소했다.

이데일리

세목별 국세 수입 실적. (이미지=기재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