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ㆍ지방은행ㆍ인터넷 은행 등 경쟁도 치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총량 관리제와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등 올해 가계대출 부진 요인이 산적한 가운데, 은행권이 올해는 기업대출에서 활로를 모색한다.
특히 일반 시중은행은 물론이고, 인터넷 은행과 지방은행 등 기업대출 시장 경쟁은 치열해질 전망이다.
14일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권의 기업대출 잔액은 전월 말 대비 13조3000억 원 늘어난 1079조 원으로 집계됐다. 1월 증가액 기준으로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9년 6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중소기업대출은 9조2000억 원 증가한 895조6000억 원으로 집계돼 역대 가장 많이 늘었다. 자영업자가 주로 빌리는 개인사업자대출은 2조1000억 원 늘어난 425조1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대기업 대출은 4조 원 늘어난 183조4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1060조2000억 원으로 한 달 전보다 4000억 줄어 2개월 연속 감소했다. 가계대출이 2개월 연속 감소한 것은 2004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정책 당국이 대출 옥죄기에 나서면서 가계대출이 주춤한 사이 기업대출은 사상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에 따른 자금 수요, 일시상환 자금의 재취급 등 영향도 있지만, 가계대출 규제 강화로 은행들이 기업대출에 대한 태도를 완화하면서 대출이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가계대출 금리 상승세가 기업대출 금리 상승세보다 더 가파른 것도 기업대출이 늘어나는 이유다. 은행권에서도 낮은 금리를 앞세워 기업 대출을 더 유치할 수 있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가계의 가중평균 대출 금리는 3.66%(신규취급액 기준)였다. 이전 대출 금리가 가장 낮았던 2020년 8월(2.55%)과 비교해 1.11%p 급등했다. 같은 기간 기업대출 금리는 2.68%에서 3.14%로 0.46%p 오르는 데 그쳤다.
한은이 지난해 8월과 11월 두 차례 금리를 인상하면서 대출금리도 함께 올랐지만, 가계대출 금리가 더 가파르게 상승한 것이다. 두 금리에 연동되는 지표금리 기준이 다른 이유도 있지만, 은행이 기업대출 유치를 적극적으로 하다 보니 가산금리 상승폭을 상대적으로 낮게 책정하는 부분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올해 은행권의 기업 대출 강화 움직임은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손병환 NH농협금융 회장은 최근 이투데이와 서면 인터뷰에서 "가계부채 문제로 가계대출 규제가 강화된 상황에서 금융회사들의 유일한 성장 동력은 기업금융에서 찾아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NH농협은행은 수도권 기업금융센터를 기존 49곳에서 65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시설자금 마케팅을 강화해 우량기업 고객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 역시 "올해 사업전략에서 기업금융·투자분야 비중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이를 위해 고객 세분화, 심사역량 강화 등 내실있고 유망한 기업을 적극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KB금융은 최근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을 통해 올해 기업대출 성장률을 7%로 제시했다.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도 "기업금융 부문의 디지털 전환 확대를 추진해 '기업금융 강자'의 면모를 굳히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시중은행뿐만 아니라 인터넷은행과 지방은행 역시 기업 대출 강화에 역점을 두고 있다. BNK경남은행 관계자는 "지방은행은 기본적으로 중소기업 대출이 많지만, 시중은행과의 경쟁을 위해 기업대출 쪽으로 시선을 더 돌리고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도 올해부터 개인사업자 대출 등 기업대출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면서 관련 시장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김도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은행업종은 법인 중소기업대출 중심의 성장을 도모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투데이/송영록 기자 (syr@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