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푸틴 자제하라"...영국 총리 SNS 글에 우쭐대는 중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존슨 英 총리, 中 웨이보에 이례적 메시지
"푸틴, 처참한 과오 초래할 결정 마라" 촉구
"러시아 향한 경고를 왜 중국인에게 하나"
앙숙 英의 돌발 행동에 우쭐대며 비아냥
한국일보

1일 우크라이나를 방문한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수도 키예프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과 회담한 뒤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존슨 총리는 이 자리에서 러시아 발끝이 우크라이나를 넘어오는 순간 자동으로 제재를 부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키예프=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영국은 중국과 사이가 가장 나쁜 국가 중 하나다. 지난해 10월 시진핑 주석과 보리스 존슨 총리 간 통화에서 “양국 관계에 이견과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고 실토할 정도다. 그럼에도 존슨 총리가 난데없이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웨이보에 중국어로 글을 올리자 해석이 분분하다. 중국 여론은 일단 “우리에게 읍소하는 것”이라고 우쭐대면서도 “무슨 꿍꿍이가 있는지 모르겠다”며 진의를 파악하려 애쓰고 있다.

존슨 총리는 15일 웨이보에 “우리는 벼랑 끝에 있지만 푸틴 대통령은 한발 물러서서 생각할 시간이 있다. 모든 사람이 대화에 참여하도록 촉구한다. 러시아는 자국에 처참한 과오를 초래할 결정을 하지 말아야 한다”고 적었다. 전운이 감도는 우크라이나 사태를 우려하며 중국인들을 상대로 글을 올린 것이다. 존슨 총리가 웨이보를 통해 중국어로 메시지를 전한 건 지난해 11월 이후 3개월 만이다. 당시 글은 지구환경 위기에 대응해 미국과 중국의 기후행동을 재촉하는 내용을 담았다.

중국 여론은 존슨 총리의 ‘돌발’ 행동에 비아냥으로 응수했다. “영국 총리가 러시아 대통령에게 전쟁 자제를 촉구하는데 왜 중국 SNS를 이용하나”라며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 적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푸틴 대통령은 웨이보 계정이 없다”고 존슨 총리를 조롱했다. 환구시보는 16일 “유감스럽지만 우리는 존슨 총리의 속임수를 믿지 않는다”는 중국 네티즌의 반응을 전했다. 신랑차이징은 “영국 정상이 러시아 정상에게 징징대는 격”이라고 평가했다.
한국일보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15일 중국 SNS 웨이보에 중국어로 올린 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을 향해 우크라이나 사태를 대화로 해결하도록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웨이보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이 존슨 총리를 믿지 못하는 건 영국이 러시아에 맞서 지속적으로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영국은 우크라이나에 병력과 무기를 모두 보내며 러시아 침공 위협에 대비해왔다. 영국 외무부는 지난달 22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친러 괴뢰정부를 세우려 한다”고 경고했고, 지난 9일에는 “우크라이나 인근 에스토니아 주둔 영국군을 두 배로 증강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중국은 주요7개국(G7)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경우 즉각 막대한 경제 제재를 가하겠다”고 경고하자 “독자 제재는 분열과 대치를 심화시킬 뿐”이라며 반대 입장을 못 박았다. 이처럼 영국은 우크라이나 사태를 놓고 러시아의 최대 우군인 중국과 대척점에 서 있는 셈이다.

영국이 줄곧 반중 선봉을 자처하면서 양국 관계에 그동안 악재가 적잖이 쌓였다. 영국은 지난해 항공모함을 남중국해에 보내 무력시위를 벌이며 중국을 자극했고, 미국ㆍ호주와 앵글로색슨 안보동맹 ‘오커스(AUKUS)’를 발족해 대중 압박 수위를 높였다. 영국 국내 정보기관 MI5는 지난달 의회에 중국 스파이 경계령을 내리기도 했다. 당시 중국 외교부는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려 중국 위협론을 부각시키고 있다”고 반박했다.


베이징= 김광수 특파원 rollings@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