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미얀마 민주화 시위

노르웨이 정부 "텔레노르 가입자정보 미얀마 군정 이전 못막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텔레노르는 "가입자 정보 삭제, 직원들 심각한 위험 노출" 거부

연합뉴스

미얀마 양곤 시내 텔레노르 대리점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2021.09.15 송고]



(방콕=연합뉴스) 김남권 특파원 = 노르웨이 정부가 이동통신사 텔레노르의 미얀마 사업 매각시 가입자 정보를 쿠데타 군정에 이전하는 것을 막을 수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18일 통신에 따르면 텔레노르 최대 주주인 노르웨이 정부의 크리스티안 베스트레 산업부장관은 지난 16일(현지시간) 의회에 출석, "미얀마에 자회사를 가진 통신사의 소유주로서 우리는 가입자 정보가 결국은 군사 정권 손에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없다"고 말했다.

베스트레 장관은 또 "이런 결정을 해야 하는 것은 정부가 아니라 회사 경영진"이라며 "이런 생각 때문에 우리는 텔레노르에 매각 연기를 요청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베스테르 장관의 답변은 매각 과정에서 가입자 정보가 보호되는지, 또 최대 주주인 정부가 텔레노르에 매각 유보를 요청했는지에 대한 야당 의원들의 질의 과정에서 나왔다.

이와 관련, 텔레노르 대변인은 같은 날 로이터에 보낸 성명에서 "일각에서 사업을 새 주인에게 넘기기 전에 데이터를 지울 것을 요청하지만 우리 직원들을 심각한 위험에 드러내지 않고서는 이를 할 수 없다"며 가입자 정보 삭제 불가 방침을 밝혔다.

지난 2014년 미얀마에서 사업을 시작한 텔레노르는 전체 인구의 3분의 1인 1천800만명을 가입자로 보유한 현지 3대 이통사 중 하나다.

지난해 2월 발생한 군부 쿠데타 이후 경영 악화 및 각종 규제 강화를 이유로 매각 방침을 발표했다.

그러나 사업 매각 후 개인 정보가 군부가 넘어가 반대 세력 탄압에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주장이 인권단체들 사이에서 제기되면서 논란이 커졌다.

지난해 9월에는 미얀마 가입자들의 이동통신 사용을 감시하라는 쿠데타 군부의 계속된 압박 때문에 사업 철수를 결정했다는 텔레노르 고위 관계자의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이 때문에 미얀마와 노르웨이 시민단체는 물론 최근에는 텔레노르의 일부 기관 투자자들도 개인정보 악용에 대한 우려를 제기해왔다.

한편 미얀마 군정은 텔레노르 현지 사업 지분의 80%를 현지 기업인 쉐 바인 퓨 그룹이 인수하는 방안을 승인했다고 로이터가 최근 보도했다.

쉐 바인 퓨의 회장인 테인 윈 조는 현지 이통사 미텔 등 군부가 운영하는 사업체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나머지 20%의 지분은 레바논 투자사인 M1에 돌아갈 예정이라고 통신은 전했다.

미얀마 군부는 지난 2020년 11월 총선이 부정선거였다고 주장하며, 지난해 2월1일 쿠데타를 일으킨 뒤 반군부 세력을 유혈 탄압해 1천500명 이상의 희생자를 냈다.

south@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