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0 (금)

이슈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

與 "대장동 녹취록에 尹 이어 우병우 등장…검찰 커넥션 수사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재명도 대장동 의혹 제기에 작심 비판 "산수도 못하냐"

뉴스1

18일 대구 달서구 대곡동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에서 열린 2021년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대구지방국세청, 한국은행 대구경북·포항본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고용진 의원이 질의하고 있다. 2021.10.18/뉴스1 © News1 공정식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이훈철 기자 = 더불어민주당은 18일 이른바 '대장동 녹취록'에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에 이어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등장한 데 대해 "박영수, 윤석열, 우병우로 이어지는 검찰과 화천대유의 커넥션을 검찰 수사로 낱낱이 밝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도 계속된 윤 후보의 의혹 제기에 '산수도 못하냐', '국민을 뻔뻔하게 속이고 있다' 등 거친 표현을 쏟아내며 작심 비판했다.

고용진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후 "화천대유 대주주인 김만배씨와 정영학 회계사의 녹취록에 박근혜 정권 실세였던 우 전 수석이 거론된 사실이 언론보도를 통해 확인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언론보도에 따르면 천화동인 4호(화천대유 계열사) 소유주인 남욱 변호사는 2014년 6월 정 회계사와 나눈 대화에서 "청와대에서 이재명을 잡으라고 오더 떨어졌다"며 "검찰이 지금 난리다"고 말했다. 두 사람은 대화 과정에서 우 전 수석을 언급했다.

고 대변인은 이에 "이들이 이런 대화를 나눈 시기는 2014년으로 이재명 후보가 대장동 공공개발 공약을 내걸고 성남시장 재선에 성공한 직후이다"며 "당시 이재명 성남시장이 박근혜 정부에 밉보여 끊임없는 방해와 탄압을 받았는데 그 중심에 박근혜 청와대와 핵심 실세였던 우병우 민정비서관이 있었다니 충격적이다"고 말했다.

뉴스1

왼쪽부터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민주당은 그러면서 윤 후보와 우 전 수석 모두 검찰 출신임을 강조했다.

고 대변인은 "앞서 이 녹취록에는 윤 후보의 이름도 등장한다"며 "곽상도, 박영수, 윤석열, 우병우 하나같이 검사 출신이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장동 개발 비리의 진범이 결국 누구인지 더욱 분명해지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이재명 시장이 부당한 이익을 취했다는 윤 후보의 주장은 말도 되지 않는 억지다"고 주장했다.

그는 "검찰에 신속하고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며 누가 공공개발을 막고 민간업자에게 이득을 주려했는지 진실의 퍼즐을 맞춰야 한다"며 "박영수-윤석열-우병우로 이어지는 검찰과 화천대유의 커넥션을 검찰 수사로 낱낱이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도 이날 호남 지역 유세에서 대장동 의혹을 반박하며 반격에 나섰다.

그는 전남 나주 유세에서 "대한민국이 환수 제도를 만들어서 십수년 동안 환수한 것이 2700억원 밖에 안 되는데 제가 단 한방으로 환수한 것만 5800억원"이라며 "근데 이 부정 집단(화천대유)한테 이익을 준 사람(윤 후보)이 있다. (윤 후보가 부산저축은행) 부정대출을 봐줘서 (화천대유가) 종잣돈으로 땅을 산 것이 아닌가"라고 주장했다.

이 후보는 이어 "고시공부하는데 원서를 1만원 주고 샀다. 근데 공부하느라 5000만원이 들었다. 그럼 투자비가 1만원인가, 5001만원인가. 내가 1000만원짜리 회사 만들어서 100억원 빌려서 50억원을 만들면 몇 퍼센트 (이익이) 남은 것인가, 50% 남은 것"이라며 "법률가(윤 후보)가 산수도 못 하나, 어떻게 국민을 뻔뻔하게 속일 수 있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뉴스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8일 전남 나주목문화관 앞에서 유세를 열고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2022.2.18/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boazhoon@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