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아진 접종률·현장혼선·보건소 부담 고려…백신접종, 여전히 강력한 무기"
"확산세, 정점 향해 빨라지는 중…3월 어떻게 대응하느냐가 기로 될 것"
중대본 회의서 발언하는 김부겸 총리 |
(서울=연합뉴스) 조민정 기자 = 김부겸 총리는 2일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 잠정 중단과 관련해 "논란이 있는 것은 알지만 오미크론 대응에 있어 득과 실을 냉철하게 따져보고 내린 결론"이라고 말했다.
김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세계 최고 수준으로 높아진 백신접종률 속에서 여러 건의 법원 판결로 현장의 혼선이 누적된 점 등을 고려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대선을 불과 열흘도 남겨두지 않은 상황에서 방역패스를 중단한 것을 두고 일각에서 선거를 의식한 조치가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 것과 관련, 김 총리가 직접 해명에 나선 것이다.
김 총리는 "무엇보다 지금은 보건소의 행정부담을 줄여 그 역량을 고위험군 보호에 집중해야 할 필요성이 컸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어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해서도 현재의 방역상황을 면밀히 분석하면서 오미크론 대응 목표의 관점에서 조정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모아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현행 거리두기는 오는 13일까지 적용하게 돼 있지만 방역 상황이나 의료현장 여건 등에 따라 이를 조기에 조정할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으로 풀이된다.
김부겸 총리, 중대본 회의 주재 |
김 총리는 이어 "예방접종의 중요성이 떨어진 것은 결코 아니다"라며 예방접종은 여전히 오미크론에 대응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무기"라면서 백신 접종을 독려했다.
이어 "이번 3월에 우리가 어떻게 대응하느냐가 2년간에 걸친 이 지긋지긋한 코로나19와의 싸움이 좋은 결과로 이어지고 소중한 일상을 회복할 수 있을지를 정하는 기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총리는 요양병원·요양시설 어르신 대상의 4차접종 등 예방접종과 먹는 치료제 투약 확대 등을 언급하면서 "코로나 때문에 응급상황에 더 취약해질 수 있는 임신부, 영유아, 투석환자 등에 대한 의료대응 체계 보강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chomj@yna.co.kr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